전체
새로운 댓글알림이 없습니다.
닫기

알림

닫기
로그인

로그인 상태 유지

건축가 로그인

회원가입 ID/PW찾기

* 시스템 리뉴얼로 인해 일반회원 가입 및 로그인은 및 한동안 불가합니다. 이에 양해의말씀드립니다.

아이디 / 비밀번호찾기

  • 가입 시 등록한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시면 임시 비밀번호가 전송됩니다.
  • 이메일 주소가 생각나지 않을 경우 1:1문의하기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아이디 찾기 비밀번호 찾기

회원가입

건축가 회원가입


일반회원 (리뉴얼 중)


회원가입을 하면 에이플래폼의 서비스 약관개인정보보호방침에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일반회원가입

중복확인

중복확인

회원가입을 하면 에이플래폼의 서비스 약관개인정보보호방침에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일반회원가입 (선택사항)

성별
남자 여자
생년월일
주소
직업

건너뛰기 >

축하합니다!
에이플래폼 가입이 완료되었습니다.

사용하실 닉네임을 입력하고
플래폼을 시작해 보세요~
닉네임을 입력해야지 최종가입됩니다.

환영합니다!

기업회원가입 (회사유형선택)

건축회사

자재회사

건축회사가입 (1/3)

증복확인

증복확인

회사명
주소
사업자구분
사업자번호

회원가입을 하면 에이플래폼의 서비스 약관개인정보보호방침에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건축회사가입 (2/3)

대표자명
대표전화
서비스분야

건축분야선택

주거
상업
문교사회
공업

최대 10개까지만 등록가능합니다.

미니카드생성 (3/3)

미니카드에 적용할 이미지를
선택하세요.

로고이미지
(168 x 168px 이상의 jpg, gif, png로 등록해 주세요.)
미니카드이미지
(291 x 164px 이상의 jpg, gif, png로 등록해 주세요.)

홈페이지 유형선택

건축가의 경쟁력 강화와 원활한 경영활동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3개월 단위 계약

  • Premium

    건축 홈페이지부터 홍보, 브랜딩 데이터분석, 콘텐츠 관리, 기사발행 등
    맞춤 경영지원을 제공하는 플랜

    299,000
    / 월

    신청하기
  • Business

    건축 홈페이지가 필요한
    건축가를 위해 준비한 플랜

    59,000

    19,900 * 이벤트 할인
    / 월

    신청하기
  • Basic

    건축플랫폼에 등록되는 기본 형태

    무료

    신청하기
개인계정 생성
반응형 홈페이지
플랫폼 메인노출
개인 도메인 연결 ×
방문자 통계
홈페이지 디자인 ×
소셜링크 ×
에이플래폼 로고/배너 삭제 ×
이메일 문의기능 ×
전담 콘텐츠매니저 부여 × ×
기사발행 (Kakao, Naver)
사무소 데이터 분석 리포트 분기 발행 × ×
인턴십 매칭 (학교지원금無)
인턴십 매칭 (학교지원금有) ×
에이라운지 입주할인 20% 할인 10% 할인 ×
건축사진작가 할인연결
세무기장 무료/할인
실시간 건축문의 참여 무제한 선착순 선착순
건축중개 × ×

축하합니다!
관리자 승인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홈으로 이동

자재회사가입 (1/2)

증복확인

증복확인

회사명
주소
사업자구분
사업자번호

회원가입을 하면 에이플래폼의 서비스 약관개인정보보호방침에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미니카드생성 (2/2)

자재 검색페이지에 노출이
되기위해 미니카드를
생성해야 합니다.

카드생성을 완료하세요.

대표이미지
(216 x 162px 이상의 jpg, gif, png로 등록해 주세요.)

취급자재선택

내장재
외장재
단열재
목재
석재
벽돌
창호
냉난방/환기설비
설비
도장/방수
홈네트워크
기타

최대 10개까지만 등록가능합니다.

축하합니다!
자재회사 페이지가 생성되었습니다.

사용하실 닉네임을 입력하고
플래폼을 시작해 보세요~

카탈로그제품사진을 등록하고
회사소개서를 작성하여
회사를 널리 알려보세요.

지금하러가기

나중에 하기

성공회 서울대성당 헌당(1926.5.2)
대한성공회 서울대성당 / Arther Dixon(1926)+김원&광장건축(1996)
도시설계가 Archur
2017.05.02


 

서울은 종교가 중심인 도시가 아니다서울에 조선의 수도를 결정한 태조 이성계도그리고 그가 건국한 나라 조선도 모두 종교를 국가의 근간으로 삼지 않았다. '숭유억불崇儒抑佛'이라 했지만 조선이 숭상한 유교는 유학을 종교적인 관점에서 이르는 것임에도 그 전까지 숭배해왔던 불교와는 달랐다근본적으로 "불교는 천국의 철학이고 유학은 인간의 철학"이었다이중톈사람을 말하다이중톈중앙북스한양의 기본공간구조의 원칙이 되었던 주례고공기에 나온 "전조후시 좌묘우사前朝後市 左廟右社"에서도 도시를 대표하는 종교시설에 대한 언급은 없다와 사가 왕의 조상과 지신地神을 위한 시설이기는 하지만 종교의 수준은 아니었다인왕산의 국사당이나 지금은 흔적도 없는 도성내 사찰을 언급할 수도 있겠지만 그렇다 하더라도 중세유럽의 도시처럼 랜드마크Landmark의 개념으로서의 종교시설은 아니었다서울에서 종교시설은 물리적이 됐든 비물리적이 됐든 비중있는 역할을 한 적이 없었다적어도 1800년대 후반까지는 그랬다.


 

종교시설이 비중있는 역할을 하지 않았던 서울에 그 동안 물리적비물리적으로 중심의 역할을 해왔던 종교들이 들어오기 시작했다그리고 그 종교들은 자신들이 해왔던 방식대로 서울에 각 종교를 대표하는 건축물을 지었다포문은 천주교가 열었다. 1891년 서소문 밖 당시 수렛골이라 불렸던 언덕에 약현성당(Eugene Coste, 1891, 위 사진)을 세웠다그리고 7년이 지난 1898년에 대한민국 천주교를 대표하는 아이콘Icon 명동성당이 건립됐다같은해 신교新敎에 해당되는미국에서 넘어온 감리회에서 정동제일교회(吉澤友太郞+심의석, 1898, 아래사진)를 지었다장로회의 첫 번째 교회는 1887년 설립된 새문안교회다하지만 현재 새문안교회 건물은 1972년에 지은 것이다정동제일교회는 규모면에서 명동성당의 비교대상이 안 된다그래서 현재 서울을 대표하는 서양식 종교시설은 명동성당이다.


 


 

그런데 명동성당이 서울에서 이런 역할을 떠맡게 된 이유는 설립 이후 우리사회에서 천주교의 활동이 더 큰 역할을 했겠지만 그 외에도 시각적으로 쉽게 인지되는 땅에 지어졌다는 이유도 있었다서울에서 명동성당이 시각적으로 잘 드러나 있었다는 얘기다실제 명동성당 건립 30년 후인 1921년에 천도교 중앙대교당(위 사진)그리고 다시 5년 후인 1926년에 대한성공회 서울대성당(이하 서울대성당)이 지어졌다하지만 이 두 종교시설은 존재 자체도 모르는 사람들이 많을 정도로 인지성이 떨어졌었다그러다 2015년 5월 11서울시는 <세종대로 일대 역사문화 특화공간 조성사업>의 일환으로 남대문 별관과 대한성공회 신관을 철거하고 광장을 조성하는 방안을 발표했다남대문 별관도 1937년에 준공된 근대건축물이지만 광장을 조성하는 것이 이 일대 "역사성을 회복하고 근대 서울의 풍경을 복원하는 방안"이라고 봤다그렇게 서울대성당은 명동성당 보다 더 눈에 띄는 자리를 차지하게 됐다(2017) 5월 2일은 서울대성당이 헌당된 지 91년이 되는 해다.


 

성공회가 우리나라에 처음 들어온 곳은 강화도였다초기 성공회는 강화도를 갑곶이를 중심으로 한 북부와 온수리를 중심으로 한 남부로 나눠 선교활동을 전개했다. 1900년에 준공된 강화성당(Mark N.Trollope+Charles J.Corfe)과 1906년에 준공된 온수리성당(Mark N.Trollope)은 그 흔적이다성공회의 한양 입성은 1892년 선교사들이 현재 터(정동 3번지)를 매입하면서 시작됐다한국 성공회 초대주교였던 Charles J.Corfe는 당시 대지에 있던 한옥에 십자가를 매달아 '장림성당'이라 명하고 예배를 시작했다. 1911년 부터 제3대 주교인 Mark N.Trollope주교는 성공회의 입지를 더 견고히 하고자 성공회 서울대성당의 건립을 본격적으로 추진했다그러나 착공은 그보다 11년이나 지난 1922년에 이루어졌다그나마도 일제의 물자동원령 등으로 인해 자재조달이 힘들어서 1926년에 미완성 상태로 준공됐다구체적으로 원래 계획했던 라틴 크로스Latin Cross평면에서 트랜셉트Transept와 꼬리부분을 떼어낸 짧은 자 평면으로 마무리됐다(아래사진)규모도 원래 계획은 990였으나 532만 지어야 했다. 1926년 5월 2헌당식때 성당의 이름은 'St. Mary and Nicholas'였다.


 

설계자는 Arther Dixon은 비록 미완성으로 부분 준공을 했지만 설계는 최종 완성본을 염두해 두고 했다전체적으로는 로마네스크 양식이었지만 조선의 전통건축 양식을 수용하려는 노력이 있었다는게 전반적인 평가다물론 이 노력에 대한 논란은 아래에서 더 자세하게 다루겠지만 성공회 서울대성당 건립 이전에 지어진 성공회 성당 -강화성당(1900)온수리성당(1906)진천성당(George Hewlett, 1923)-과 이후에 지어진 성당 -청주성당(Cecil Cooper, 1935)이 모두 한옥성당이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수용하려는 노력과 의지는 분명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성공회 서울대성당을 두고 서양의 로마네스크 양식이 우리나라의 전통건축 양식과 가장 잘 혼합된 근대건축이라는 평을 내린다성공회 서울대성당이 지어졌던 시기에 건설된 서양 양식의 건축물들은 대개 자국의 양식을 가능한 따르려 했다양식의 변형은 시공상의 제약을 극복하기 위함이었지 우리나라의 전통건축 양식과의 혼합을 위한 시도는 아니었다종교시설로 범주를 한정해도 구교로 일컬어지는 천주교 건물은 고딕양식Gothic Style이 주류였다서울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 지어진 천주교 성당은 마카오Macau의 파리외방전교회 주도로 지어졌다그래서 당시에 지어졌던 "천주교 성당은 양식 사조에 대해 높은 집중도를 보여주며 프랑스 특유의 형식주의 품격을 보여준다구석구석 잔손을 많이 가해 어디 한 군데 서툴게 놔둔 곳이 없다."사회미학으로 읽는 개화기-일제강점기 서울건축임석재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이런 상황에서 천주교와는 다른 성공회가 자신들의 본부가 될 서울대성당을 건립하려고 했을때 고딕은 건축양식으로 택할 수 있는 선택사항이 아니었다여기에 앞서 언급한 것 처럼 성공회가 서울대성당 건립 이전과 이후에 지었던 다른 성당들에서 전통건축의 요소가 발견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 성당이 로마네스크 양식을 기반으로 전통건축 양식을 적절하게 섞은 것으로 보는 견해는 타당해 보인다.


 

몇몇 사람들이 성공회 서울대성당을 해석한 내용을 정리해 보면 이렇다우선 성공회 서울대성당은 '종합절충형 로마네스크 리바이벌Revival 양식'이다. '종합절충형'이라는 단어를 사용한 이유는 로마네스크 양식만 따져도 프랑스독일이탈리아 양식이 섞여 있기 때문이다임석재의 글 사회미학으로 읽는 개화기-일제강점기 서울건축임석재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을 보면 우선 프랑스 로마네스크의 특징은 "라틴 크로스 평면화강석 재료트랜셉트와 동쪽 외진 성직자 영역에 반원형 채플Chapel "이다독일 로마네스크의 특징은 "크고 작은 육면체 덩어리를 덧붙여 기하학적 구성을 한 점붉은 벽돌을 섞어서 장식 효과를 낸 점"이다마지막으로 이탈리아 로마네스크 양식은 "캄파닐레Campanile로 볼 수 있는 첨탑을 붙인 점"이다실내에서는 "다발 기둥 없이 단일 기둥 열을 세운 점석조 볼트Vault가 아닌 목조 트러스Truss로 천장 구조를 짠 점네이브 월Nave wall의 창 구성을 삼분법이 아닌 이분법으로 한 점" 등으로 볼 때 독일 로마네스크 양식이 지배적이다.


 

여기에 전통건축의 요소들이 융합돼 있다는 해석을 하는 이유는 처마 장식창살 문양스테인드 글라스 색Stained Glass Color지붕 기와에서 전통건축의 특징들이 보이기 때문이다처마의 경우길이는 로마네스크 양식을 따랐지만 처마와 만나는 몸통부분에 처마를 받치는 지지부재를 장식요소로 활용해서 붙인 점 등은 정통 로마네스크 수법이 아니라 전통건축의 공포 구조에서 빌려온 모티브Motive라는게 임석재의 해석이다(위 사진)창살의 분할도 한옥 창살 형태를 따랐고 스테인드 글라스의 색은 음양오행설에 따라 다섯 방향을 나타내는 노랑파랑하양빨강까망의 다섯가지 한국 전통색인 오방색을 적용한 것으로 간주한다(아래사진).


 


 

구본준은 조금 더 자세하게 서울대성당의 지붕과 기와에 동서양이 공존한다고 썼다구체적으로 "성공회 성당의 지붕을 보면 윗부분은 서양식 빨강 기와들이다그러나 아래쪽에서 올려다볼때 먼저 눈에 들어오는 낮은 지붕들은 한국 전통 기와를 얹었다그리고 중간 벽에 반쪽만 나온 지붕들은 정자 건물들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모임지붕이다한 건물에 동서양 지붕과 기와가 공존하는 것이다이런 특성 때문에 바로 옆 한옥들과 자연스럽게 조화를 이루고 있다(위 옛날사진 참고)지붕 뿐 만이 아니다자세히 보면 지붕 아래 돌 장식들도 모두 한국식 처마 디자인이다이 성당이 서양 로마네스크식 건물이면서도 이질감 없이 서울의 풍경 속으로 녹아든 이유는 이렇게 구석구석 한식과 로마네스크식을 섞은 융합 디자인을 적용한 데에 있다."고 썼다하지만 구본준은 이 건물이 진정 아름다운 이유는 형태와 디자인에만 있지 않다고 지적한다그러면서 "다른 건물에는 없는 아름다운 이야기가 깃들어 있기에 더 아름답다한국 건축사에 길이 남을 그 이야기는 성당 안으로 들어가면 비로소 만날 수 있다. (성공회 서울 대성당의 내부는) 결코 화려하지 않다대신 단아하다하얀 벽과 갈색 나무 구조가 단순하다. ...(중략)... 이렇게 차분하게 사람을 배려하는 건축튀기보다 함께 어울리려는 건축은 실로 드물다."고 평했다구본준의 마음을 품은 집서해문집.


 

종교건축에서는 상당한 권위를 지닌 김정신도 성공회 서울대성당의 건축양식을 두고 "전형적인 앵글로 노르만 양식Anglo-Norman Style의 건물이지만 매스의 위계적인 조합과 처마의 서까래 장식전통 격자 창살문양한식 기와지붕스테인드 글라스의 오방색 등 한국 전통 건축 요소를 섞어 씀으로써 한국적 스테일과 풍토에 잘 어울리는 훌륭한 건축물이다."역사전례양식으로 본 한국의 교회건축김정신미세움라고 평했을 만큼 본 건물은 서양양식과 전통양식이 잘 혼합돼 있다는 것이 한국 건축계의 전체적인 평가다하지만 성공회 서울대성당의 건축양식을 다르게 해석하는 논문도 있다대표적으로 영국의 낭만주의 건축운동과 성공회 서울 주교좌 성당이정구월간 건축인 Poar2001.05>이다이 논문을 쓴 이정구는 한신대 대학원에서 교회사를 전공하고 영국 버밍엄 대학교에서 <건축학적으로 본 성공회Architectural Anglicanism>로 박사학위를 받은 뒤현재 성공회 사제다그의 논문을 정리하면 이렇다.


 

애초 성당 건축을 주도한 Trollope가 옥스퍼드대학 출신으로 '옥스퍼드 운동The Oxford Movement'의 계승자였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그가 서울대성당의 건축 양식으로 원했던 건 로마네스크가 아닌 네오-고딕Neo-Gothic이었을 확률이 더 높다옥스퍼드 운동은 "1833년 당시의 신 과학과 리버럴리즘Liberalism이 교회의 신앙을 파괴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이들에 대항하고자 옥스퍼드 학부 학생들과 신학자들이 모여 논문을 통해 과거 중세기 로만 카톨릭과 성공회의 전통성과 연속성을 강조하던 운동이다이들은 'Tracts for the Times'라는 잡지를 발간하여 '트랙타리안Tractarians'이라는 별명을 얻었는데특히 예전과 교회건축에 관심이 깊어 전통적인 성공회 공도문Book of Common Prayer of the Anglican Church을 고집하고 예전에서 설교보다는 성사Sacrament에 더욱 관심을 지녔던 그룹"이다그런데 자신도 트랙타리안으로 불린 Trollope가 성공회 서울대성당의 건축 양식을 네오-고딕이 아닌 로마네스크로 선택한데에는 건축물을 설계한 Dixon의 설득이 큰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실제 Trollope는 자신이 다녔던 랜싱 칼리지Lancing College의 예배당이 서울대성당의 건축적 모델이 되기를 원했지만 "돌로 건축한다는 것은 경비가 너무 많이 들고 무엇보다 낮고 긴 건물을 밖에서 볼 때 별로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Dixon의 조언을 따랐다고 한다구체적으로 Dixon은 Trollope에게 "로마네스크 양식이 고딕보다는 덕수궁 터의 스카이라인에 어울리고경비가 적게들며한국의 성공회 선교 초기를 상징하듯이 서양 초대교회의 순수하고 단순함을 담은 이 양식이 적합하다"고 설명했다고 한다로마네스크도 고딕 양식 만큼이나 중세 유럽을 대표하는 건축 양식이다.


 

그렇다면 로마네스크 양식을 추천한 Arther Dixon은 어떤 건축가였을까? 1856년 버밍엄의 에지바스턴Edgbaston에서 태어난 Dixon은 하원의원과 버밍엄 시장을 엮임한 George Dixon의 장남이었다옥스퍼드 대학에서 건축을 전공하고 석사학위까지 받았다. 1929년 72세의 나이로 세상을 뜰때까지 영국 왕립건축가협회The Royal Institute of British Architects의 회원이었다. Dixon은 버밍엄의 한 보험회사 'The Eagle Insurance Company(1900)'를 건축했던 William Richard Lethaby(1857~1931)의 영향을 받고 그가 이끌었던 비잔틴 리서치 그룹Byzantine Research Group에 참여하기도 했다. William Richard Lethaby는 John Ruskin의 이념에 동조한 건축가로 미술공예운동The Arts and Crafts Movement의 추종자로 분류된다, Dixon도 수공예작업을 중시했던 미술공예운동을 따랐다고 볼 수 있다.


 

실제 그의 주요작품은 St.Andrew's Church(1910, Barnt Green), St.Basil's Church(1911, Deritend Birmingham), Chapel of the Grey Ladies(1913, Coventry), Bishop's Chapel at Bishopscrobt(1924, Harborne) 등인데이 중 수공예 작품으로 비잔틴 재단 모자이크Byzantine Altar Mosaic가 있다본 작품은 Dixon의 추천으로 미국인 George Jack이 시칠리아 체팔루Sicilia Cefalu성당 모자이크에서 영감을 얻어 제작한 것이라고 한다. George Jack은 영국으로 이주하여 Philip Webb의 런던 공방에서 건축을 공부를 하고, William Morris의 공방에서 가구 디자인을 하다 후에 William Richard Lethaby와 함께 London Central School of Arts and Crafts에서 교수로 일을 했던 사람이다이 George Jack이 1938년 성공회 서울대성당 재단의 모자이크(위 사진작업을 했다.


 

두 사람의 인연은 Dixon이 Trollope가 한국 주교로 부임하기 전까지 사목이었던 버밍엄의 세인트 올번스의 교회위원을 역임했을때 시작됐다. Dixon은 성공회 서울대성당의 설계를 맡고 두 차례나 조선을 방문했었다조선 방문때 Dixon은 조선과 건축(1927)이라는 잡지와의 인터뷰를 했는데당시 "옛 건축은 그것이 건축된 시대에 진정한 생명이 있다그러나 지금은 사멸되어 가고 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현대건축은 옛 건축을 복사하여 보여주는 것 같다사회적 조건의 변화와 사회의 요구에 따라 새로운 건축은 무의식적으로 자리하게 된다건축가는 자신의 노력을 바탕으로 옛 것 중에 하나 혹은 두 개를 선택하여 참고하게 된다그런데 Trollope 주교는 로마네스크 건축을 선택하였다이 양식은 초기 기독교시대부터 12세기 초엽까지 유럽에 널리 퍼져 있던 양식인데 특히 동방 오리엔탈 양식이 부가된 로마네스크와 비잔틴 건축과의 관계는 꼭 형제와 같은 것이다"고 했다 <조선성공회 건축에 관하여조선과 건축(1927)>여기서 새로운 건축 -서울대성당을 의미으로 자리하게 만드는 '사회적 조건의 변화와 사회의 요구'는 결국 자신의 조언을 들은 Trollope의 선택이다이에 대하여 이정구는 "주교가 선택한 로마네스크는 중세 유럽의 양식으로서 한국 사회의 요구에 대한 표현이 아닌 영국사회 혹은 영국인 주교와 수공예운동가의 개인적인 한국에 대한 문명화서구화에로의 요청이었다"라고 해석한다성공회 서울대성당 설계시 의뢰를 한 Trollope와 설계자 Dixon은 한국 건축가들이 흔히 해석하듯 서구 로마네스크 양식에 한국 전통건축 양식을 적절하게 섞고자 하는 생각이 크지 않았거나 없었다는 걸 의미한다.


 

건설비 뿐만 아니라 성당내 성물들은 영국으로부터 봉헌을 받아 Dixon의 검열을 통해 성당에 안치되었다고 한다이를 두고 이정구는 "서울대성당은 고교회에 적합한 영국의 미술공예 제품이 수장되어 있는 한국의 유일한 곳이라고 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주장의 근거는 제단 모자이크와 지하성당Crypt에 안치된 Trollope의 동판 브라스Brass십자가와 촛대종으로 이는 모두 영국 미술공예운동에 의한 대표적인 산물들이다이정구는 영국의 미술공예운동은 산업화의 흐름에 반하여 손으로 직접 만든 물건에 대해 예술적 가치를 부여했다는데 의미가 있는데그 물건에 한국의 건축과 수공예품은 제외됐다는 것이다더군다나 산업화의 흐름에 반한 영국의 미술공예운동이 정작 한국에서는 산업화서구화기독교화라는 소위 유럽인들이 주창하는 문명화의 일환으로 안치됐다는 것이다무엇보다 이정구가 주장하는 더 큰 문제는 "미술공예 건축물과 성물들을 통해 영국 선교사들은 한국에서 자신들의 권위를 시각적으로 과시했고 예배공간마저 통제하고 지배했던 것"이다그 결과 "한국 성공회는 토착화의 기회를 상당기간 놓치게 되었고 현재 새로 건축되는 교회건축양식성물예전에 이르기까지 영국의 옥스퍼드운동과 미술공예운동의 그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고 평했다초기 한옥으로 지어진 성공회 성당을 두고 성공회의 '토착화 정신'이라 보는 건축계의 견해와는 상반된다.


 

2015년 10서울시는 광장 조성을 위한 당선작으로 터미널 7아키텍트Terminal 7Architects의 '서울 연대기Seoul Chronicle'를 선정했다설계자는 "산으로 둘러싸인 서울은 지상의 다양한 높이가 있을 뿐 아니라 지하에도 유적지하구조물기반시설이 존재하는 깊이가 있는 도시"이기 때문에 "최소한의 건축적 장치로 파편화된 역사적 사건들을 순서대로 나열하고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시의 파편화된 기억은 도시 이야기가 되어 '서울 연대기'로 쓰여질 것"이라고 설계 개념을 설명했다그런데 광장을 1개층 높이로 올린 당선작에 대해 "바로 옆 인도를 지나는 시민들이 성당을 바라보는 시야를 막는다"는 비판이 제기됐다<'성공회성당-서울시 '도시미학 협력'흔들', 한겨레2015.12.15>역사적 건축물 주변에 삽입되는 새로운 조직 -신축 건물을 포함한 설치물 일체에 대해서는 언제나 말이 나오게 마련이다그런데 그 과정에서 정작 중요한 역사적 건축물에 대한 이야기는 점차 논의의 초점에서 흐려진다새로운 조직을 삽입하는지 그 처음의 목적, '역사문화 특화공간'이란 무엇인지를 조금씩 망각하고 새로운 조직 그 자체에 대해서만 논쟁을 벌인다.


 

도시설계가 Archur

Archur가 해석하는 도시, 건축.
저서. <닮은 도시 다른 공간>

건축이야기꾼의 다른 글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