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새로운 댓글알림이 없습니다.
닫기

알림

닫기
로그인

로그인 상태 유지

건축가 로그인

회원가입 ID/PW찾기

* 시스템 리뉴얼로 인해 일반회원 가입 및 로그인은 및 한동안 불가합니다. 이에 양해의말씀드립니다.

아이디 / 비밀번호찾기

  • 가입 시 등록한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시면 임시 비밀번호가 전송됩니다.
  • 이메일 주소가 생각나지 않을 경우 1:1문의하기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아이디 찾기 비밀번호 찾기

회원가입

건축가 회원가입


일반회원 (리뉴얼 중)


회원가입을 하면 에이플래폼의 서비스 약관개인정보보호방침에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일반회원가입

중복확인

중복확인

회원가입을 하면 에이플래폼의 서비스 약관개인정보보호방침에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일반회원가입 (선택사항)

성별
남자 여자
생년월일
주소
직업

건너뛰기 >

축하합니다!
에이플래폼 가입이 완료되었습니다.

사용하실 닉네임을 입력하고
플래폼을 시작해 보세요~
닉네임을 입력해야지 최종가입됩니다.

환영합니다!

기업회원가입 (회사유형선택)

건축회사

자재회사

건축회사가입 (1/3)

증복확인

증복확인

회사명
주소
사업자구분
사업자번호

회원가입을 하면 에이플래폼의 서비스 약관개인정보보호방침에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건축회사가입 (2/3)

대표자명
대표전화
서비스분야

건축분야선택

주거
상업
문교사회
공업

최대 10개까지만 등록가능합니다.

미니카드생성 (3/3)

미니카드에 적용할 이미지를
선택하세요.

로고이미지
(168 x 168px 이상의 jpg, gif, png로 등록해 주세요.)
미니카드이미지
(291 x 164px 이상의 jpg, gif, png로 등록해 주세요.)

홈페이지 유형선택

건축가의 경쟁력 강화와 원활한 경영활동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3개월 단위 계약

  • Premium

    건축 홈페이지부터 홍보, 브랜딩 데이터분석, 콘텐츠 관리, 기사발행 등
    맞춤 경영지원을 제공하는 플랜

    299,000
    / 월

    신청하기
  • Business

    건축 홈페이지가 필요한
    건축가를 위해 준비한 플랜

    59,000

    19,900 * 이벤트 할인
    / 월

    신청하기
  • Basic

    건축플랫폼에 등록되는 기본 형태

    무료

    신청하기
개인계정 생성
반응형 홈페이지
플랫폼 메인노출
개인 도메인 연결 ×
방문자 통계
홈페이지 디자인 ×
소셜링크 ×
에이플래폼 로고/배너 삭제 ×
이메일 문의기능 ×
전담 콘텐츠매니저 부여 × ×
기사발행 (Kakao, Naver)
사무소 데이터 분석 리포트 분기 발행 × ×
인턴십 매칭 (학교지원금無)
인턴십 매칭 (학교지원금有) ×
에이라운지 입주할인 20% 할인 10% 할인 ×
건축사진작가 할인연결
세무기장 무료/할인
실시간 건축문의 참여 무제한 선착순 선착순
건축중개 × ×

축하합니다!
관리자 승인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홈으로 이동

자재회사가입 (1/2)

증복확인

증복확인

회사명
주소
사업자구분
사업자번호

회원가입을 하면 에이플래폼의 서비스 약관개인정보보호방침에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미니카드생성 (2/2)

자재 검색페이지에 노출이
되기위해 미니카드를
생성해야 합니다.

카드생성을 완료하세요.

대표이미지
(216 x 162px 이상의 jpg, gif, png로 등록해 주세요.)

취급자재선택

내장재
외장재
단열재
목재
석재
벽돌
창호
냉난방/환기설비
설비
도장/방수
홈네트워크
기타

최대 10개까지만 등록가능합니다.

축하합니다!
자재회사 페이지가 생성되었습니다.

사용하실 닉네임을 입력하고
플래폼을 시작해 보세요~

카탈로그제품사진을 등록하고
회사소개서를 작성하여
회사를 널리 알려보세요.

지금하러가기

나중에 하기

이응노의 집 #01. 땅과 재료의 감각
[재미나요ㅣ우리나라]
건축가 천경환
2017.10.23

 

올 초에충남 홍성군에 위치한 이응노의 집에 구경 갔었는데그 때의 기록입니다.


 

낮은 산으로 부드럽게 둘러싸인 논밭을 가로질러가다 보면문득 나오는 풍경살짝 기울어진 작은 깍두기 모양의 흙벽 덩어리들을 만나게 됩니다도로와의 높이 차이를 모난 돌을 정갈하게 쌓아서 가렸는데건축가의 성실함과 면밀함이 돋보이는 장면입니다.


 

주차장에서 기념관으로 진입하려면 다리를 건너게 되어 있는데코르텐 으로 싸 바른 모습이 반가웠습니다파주출판도시의 풍경이 자연스럽게 연상되기도 하고요. (아닌 게 아니라 다리 건너편에 파주출판도시 스타일의 가로등이 보이네요.) 계획하신 건축가 (조성용 생님)가 속한 또래집단(이런 표현이 적당할지는 모르겠지만)의 성향이 엿보이는 듯도 합니다.


 

고암 이응로 화백의 생가 기념관이응노의 집.

   

이름 참 잘 지었습니다.


 

’ 앞에는 연못이 가꾸어져 있었는데건물과 함께 전체 풍경을 이루는 중요한 요소들의 하나로 계획되었다고 합니다.


 

연못을 지나서건물에 다가갑니다왼쪽에 복원된 화백의 생가가 보이고오른쪽에 새롭게 지어진 기념관이 보입니다형태상으로는 대조적이지만재료의 질감이나 색깔그리고옹기종기 모여진 스케일(크기)감각이 엇비슷하게잘 어울려 보이네요.


 

오른편의 생가를 옆으로 지나치면서 기념관으로 올라가는’ 극적으로 가파르지는 않지만기울어진 지형이 분명히 느껴지는데이 지역에서 흔히 보이는 지세입니다이런 땅의 감각은 기념관 내부 공간 연출의 주된 디자인 모티브가 됩니다.


 

노출콘크리트와 빛바랜 나무 쪽 널 사이반질거리는 유리면이 약간의 이질감을 연출하고 있었는데밤에 보면 또 다른 느낌일 듯.


 

노출콘크리트 상자와 나무 상자가 맞물리는 상황.


 

폼타이 자국은 거칠게 얼버무리고나무 쪽 널의 문양을 표현한 노출콘크리트진짜 나무 쪽 널 마감을 한 또 다른 벽면과 절묘하게 어울리는 상황을 염두에 둔 디자인이었겠습니다.

   


 

쪽 널 문양이 선명하게 표현되진 않았지만그래도 그런 기분은 유감없이 느껴집니다입체적으로 살짝 쪽 널의 단차가 져 있기도 하고빗물 따위로 세월의 때가 얼룩져서 그렇기도 하고요.


 

빗물을 흘려서 버리는 작은 홈통인데조각이 아닌 건축이라는 사실이 새삼스럽게 확인되는반가운 장면입니다.


 

콘크리트 상자와 나무 상자가 맞물리는 틈새로 비집고 들어가는 식지금 보니 왼쪽의 조명등이 조금 아쉽네요등 본체는 마감 안쪽으로 매입되는 식이었을 텐데.


 

 

콘크리트와 나무 사이에는 아연도 앵글로 재료분리.


 

나무 널판 마감의 벽인데멀리서 보면 따스한 느낌을 주지만가까이에서 보면 좀 물렁한 느낌입니다아무래도 콘크리트나 철판에서 느껴지는 견고함이나 묵직함과는 조금 거리가 있지요

   

그런 측면에서이 건물의 이 장면에 이 재료가 이런 식으로 쓰여야 했는지는 조금 의문입니다.


 

바닥은 테라죠 마감예전에 학교 복도에서 접했던 것인데요즘은 보기 힘듭니다타설한 뒤 반질반질 갈아내는 과정에서 오염물질이 발생한다는 이유도 있고요싸고 편하게 쓸 수 있는 다른 마감 재료가 많이 나오기도 했고요

   

테라죠는 타일이나 마루 널판처럼 구조체에 덧씌워진 느낌이라기보다는 구조체와 한 몸이 된 듯 한 느낌을 자아냅니다그런 느낌이나중에 보게 될 내부 공간의 분위기로 이어집니다.


 

나무 널판 마감의 맞은편에는 블랙 스테인리스 강판의 마감 벽면이 서 있는데미술관이 건설된 취지와 함께내부 구성에 대한 설명이 쓰여 있었습니다.


 

아무래도 나무 널판과는 다른 인상입니다좀 더 오래아니영원히 이렇게 서 있을 것만 같은 강인한 느낌을 줍니다그 위에미술관에 관한 각종 정보가 이음새 없이’ 덧씌워져 있는데미술관의 성격과 공간 구성 또한블랙 스테인리스 강판과 함께 영원할 것이라는 암시를 주는 듯합니다.


 

미술관 평면세 부분으로 이루어진단순하고 명쾌한 구성입니다다른 건물에서도 여러 번 본 듯한낯익은 구성이기도 하고요.


 

진입 로비와 사무실화장실강당수장고 등으로 이루어진, ‘서비스 공간


 

전시실로 들어서기 위해 거쳐야 하는 사이 공간’ 혹은, ‘매개 공간’ 그리고,


 

 

전시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인상적인 것은, ‘전시 공간’ 못지않게, ‘매개 공간이 아주 중요하게 다루어져 있다는 점입니다면적으로도 아주 넓게 설정되어 있거니와공간의 정교함으로도 또한 그렇습니다

   

건축가는 화가가 남긴 직접적인 작품 못지않게공간으로도화가에 대한 이야기를 잘 전달할 수 있다고 생각한 모양입니다아니작품이 아닌 공간을 통해 전달할 이야기가 있었던 모양입니다.

  

 

출처 http://jaeminahyo.com/?p=17870      

건축가 천경환

손과 발로 풍경을 읽어내는 사람이고
읽어낸 풍경을 꾸준히 기록하는 사람이고
그 기록들을 양분 삼아 디자인을 풀어내는 사람입니다.

건축이야기꾼의 다른 글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