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새로운 댓글알림이 없습니다.
닫기

알림

닫기
로그인

로그인 상태 유지

건축가 로그인

회원가입 ID/PW찾기

* 시스템 리뉴얼로 인해 일반회원 가입 및 로그인은 및 한동안 불가합니다. 이에 양해의말씀드립니다.

아이디 / 비밀번호찾기

  • 가입 시 등록한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시면 임시 비밀번호가 전송됩니다.
  • 이메일 주소가 생각나지 않을 경우 1:1문의하기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아이디 찾기 비밀번호 찾기

회원가입

건축가 회원가입


일반회원 (리뉴얼 중)


회원가입을 하면 에이플래폼의 서비스 약관개인정보보호방침에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일반회원가입

중복확인

중복확인

회원가입을 하면 에이플래폼의 서비스 약관개인정보보호방침에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일반회원가입 (선택사항)

성별
남자 여자
생년월일
주소
직업

건너뛰기 >

축하합니다!
에이플래폼 가입이 완료되었습니다.

사용하실 닉네임을 입력하고
플래폼을 시작해 보세요~
닉네임을 입력해야지 최종가입됩니다.

환영합니다!

기업회원가입 (회사유형선택)

건축회사

자재회사

건축회사가입 (1/3)

증복확인

증복확인

회사명
주소
사업자구분
사업자번호

회원가입을 하면 에이플래폼의 서비스 약관개인정보보호방침에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건축회사가입 (2/3)

대표자명
대표전화
서비스분야

건축분야선택

주거
상업
문교사회
공업

최대 10개까지만 등록가능합니다.

미니카드생성 (3/3)

미니카드에 적용할 이미지를
선택하세요.

로고이미지
(168 x 168px 이상의 jpg, gif, png로 등록해 주세요.)
미니카드이미지
(291 x 164px 이상의 jpg, gif, png로 등록해 주세요.)

홈페이지 유형선택

건축가의 경쟁력 강화와 원활한 경영활동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3개월 단위 계약

  • Premium

    건축 홈페이지부터 홍보, 브랜딩 데이터분석, 콘텐츠 관리, 기사발행 등
    맞춤 경영지원을 제공하는 플랜

    299,000
    / 월

    신청하기
  • Business

    건축 홈페이지가 필요한
    건축가를 위해 준비한 플랜

    59,000

    19,900 * 이벤트 할인
    / 월

    신청하기
  • Basic

    건축플랫폼에 등록되는 기본 형태

    무료

    신청하기
개인계정 생성
반응형 홈페이지
플랫폼 메인노출
개인 도메인 연결 ×
방문자 통계
홈페이지 디자인 ×
소셜링크 ×
에이플래폼 로고/배너 삭제 ×
이메일 문의기능 ×
전담 콘텐츠매니저 부여 × ×
기사발행 (Kakao, Naver)
사무소 데이터 분석 리포트 분기 발행 × ×
인턴십 매칭 (학교지원금無)
인턴십 매칭 (학교지원금有) ×
에이라운지 입주할인 20% 할인 10% 할인 ×
건축사진작가 할인연결
세무기장 무료/할인
실시간 건축문의 참여 무제한 선착순 선착순
건축중개 × ×

축하합니다!
관리자 승인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홈으로 이동

자재회사가입 (1/2)

증복확인

증복확인

회사명
주소
사업자구분
사업자번호

회원가입을 하면 에이플래폼의 서비스 약관개인정보보호방침에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미니카드생성 (2/2)

자재 검색페이지에 노출이
되기위해 미니카드를
생성해야 합니다.

카드생성을 완료하세요.

대표이미지
(216 x 162px 이상의 jpg, gif, png로 등록해 주세요.)

취급자재선택

내장재
외장재
단열재
목재
석재
벽돌
창호
냉난방/환기설비
설비
도장/방수
홈네트워크
기타

최대 10개까지만 등록가능합니다.

축하합니다!
자재회사 페이지가 생성되었습니다.

사용하실 닉네임을 입력하고
플래폼을 시작해 보세요~

카탈로그제품사진을 등록하고
회사소개서를 작성하여
회사를 널리 알려보세요.

지금하러가기

나중에 하기

태조 이성계 종묘 건축 시작(1394.12.4)
종묘(1395)
도시설계가 Archur
2017.12.03

종묘는 사직단과 함께 조선의 정신적 근간이다. 그래서 신하들은 왕에게 "종묘사직을 보존하라그렇게 요구했다태조 이성계는 조선을 세우고 3년이 지난 1394년 10월에 한양으로 천도했다그리고 그해 12월 4일 종묘 건축을 시작했다그리고 이듬해 9월 29일 정전 7이 처음으로 지어졌다그 외 정전 영역의 정문인 신문神門 3동문 3서문 1간 그리고 신문 동쪽에 5간의 공신당功臣堂이 지어졌다.

공신당은 역대 왕들이 재위했을 때 가장 공이 큰 신하臣下들을 모시는 사당이다조선은 군인 이성계가 지식인 그룹인 신진사대부와 힘을 합쳐 세운 나라다이성계 입장에서는 자신이 왕이 되는데 결정적인 도움을 준 신진사대부를 대접해야 했다종묘라는 시설이 있는 아시아 국가 중 공신당을 세운 나라는 조선이 유일했다.

도시를 전공한 사람이 종묘를 언급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얘기는 주례고공기周禮考工記에 나오는 "匠人管國方九里旁三門國中九經九緯經徐九軌左祖右社面朝後市"특히, "左廟右社面朝後市"는 국가 중요 시설인 종묘(좌측), 사직(우측), 행정관청(전면), 시장(후면)의 위치를 정하는 가이드라인Guideline이었다이 내용은 중국 역대 왕조 뿐 만 아니라 우리나라 역대 왕조 도성건설의 기본이 됐다한양도 예외는 아니었지만 그대로 적용하지는 않고 풍수지리 사상과 섞었다그래서 한양의 시장은 후면(북쪽)이 아닌 종로(좌측)를 따라 만들어졌고 동대문과 남대문에서 커졌다하지만 종묘와 사직의 위치는 정궁인 경복궁을 기준으로 서쪽과 동쪽에 배치됐다.

한양 도성 안에서 종묘의 위치를 보면 북촌과 인사동 일대를 가운데 두고 경복궁과 대칭이다북악산-(청와대)-경복궁-육조거리(광화문광장)가 하나의 흐름을 이룬다면 그 반대편에 북악산-창덕궁과 창경궁-종묘가 또 하나의 흐름을 만든다태종(1405때 조성된 창덕궁은 1412년 돈화문이 건립되면서 궁궐의 면모를 갖췄다동쪽에 인접한 창경궁은 1418년 왕위에 오른 세종이 태종을 모시기 위해 지었다흔히 조선의 정궁을 경복궁이라 하지만 태종 이후 왕들은 창덕궁에 머물렀다심지어 임진왜란 때 대부분 전소된 한양내 궁궐들 중 경복궁은 270년이 지난 1867년 흥선대원군의 결정으로 중건됐지만 창덕궁은 1610년 광해군 때 중건이 끝났다창덕궁은 조선시대 실질적인 정궁이었다.

창덕궁에 왕이 머물렀다는 점을 감안하면 종묘는 조선시대 왕들에게 아주 가까운 곳이었다심지어 당시에는 현재 두 궁과 종묘를 나누는 율곡로 조차 없었으니 창덕궁과 창경궁(위 사진그리고 종묘는 하나의 영역이었다실제 이 영역을 '동궐'이라 불렀다그럼 서궐은현재 경희궁과 덕수궁을 함께 일컫는 경덕궁 영역이다염복규는 서울은 어떻게 계획되었는가살림에서 "서궐은 민인들의 공간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었고 동궐은 민인들의 생활공간과 분리되어 고고하게 고립되어 있는 공간"이라고 구분했다.

창덕궁에 머물렀던 왕의 입장에서 보면 종묘의 주출입구인 외대문外大門으로 들어가는 길은 가장 우회하는 경로다그래서 난 '종묘전도宗廟全圖(위 이미지, 1697년 편찬된 종묘의궤에 수록)'를 봤을 때 외대문 만큼 외서문(外西門 서쪽)과 북신문(北神門 북쪽)에 관심이 갔다종묘전도는 건물의 향을 반영하지 않고 있다일종의 다이어그램Diagram인데 추측을 해보면 외서문은 영녕전永寧殿 서문 서쪽에 있었으니 창덕궁으로북신문은 신주神廚(전사청북쪽에 있었으니 창경궁으로 연결돼 있었을 것 같다물론종묘에서 공식적인 행사가 있다면 창덕궁에 머물렀던 왕이 외대문으로 돌아 종묘에 들어갔겠지만 평소까지 그랬을까라는 상상을 해본다내가 그랬듯현재 우리가 그렇듯 조용히 사색하고 싶을 때선대들에게 비록 답을 얻지는 못해도 질문을 던지고 싶을 때적요함 속에 빠지고 싶을 때 왕은 외서문을 통해 종묘를 찾았을 것 같다.

양쪽에 길게 늘어진 돌담을 감안하면 종묘의 정문인 외대문은 간소해 보인다(위 사진). 원래 외대문 가운데에는 계단이 있었다고 한다그렇다면 지금 보다 더 올려다 봐야했겠지만 그렇다고 근엄해 보이지는 않았을 것 같다의 세계와 구분하려는 최소한의 제스처Gesture라 생각된다이 계단은 일제시대 도로를 조성하면서 땅에 묻혔다그래서 지금은 전면에 있는 종묘광장공원과 단차가 없다.

외대문을 들어서면 넓적한 돌을 깐 삼도三道가 북쪽으로 뻗어 있다길이는 길지 않지만 양쪽에 나무가 울창해서 삼도의 끝이 가늠되지 않는다(위 사진). 삼도를 가만보면 가운데 돌이 양쪽 보다 올라와 있다이는 가운데 돌길이 양쪽 돌길과 다르다는 것의 드러냄이다가운데 돌길은 신향로神香路즉 신을 위한 길이다그리고 살짝 낮은 양쪽 길은 인간이 다니는 길로 그 중에서도 동측은 어로御路즉 임금의 길이고 서측은 세자로世子路.

앞서 본 종묘전도에는 삼도를 포함한 길이 그려져 있지 않다외대문 위쪽에 구불구불한 선은 물길이다반면, 1741(영조17)에 편찬된 종묘의궤속록에 실려 있는 '종묘전도(위 이미지)'에는 정전 인근의 길이 그려져 있다종묘전도에 따르면 삼도는 신문으로 바로 연결되지 않고 45도 꺾여있다현재 삼도는 외대문에서 140m를 들어온 뒤 동쪽으로 90도 꺾여 재궁齋宮으로 이어진다재궁은 제사를 지내기 전 국왕이 목욕재계를 하고 의복을 정제하던 곳이다.

삼도가 재궁 방향으로 꺾이기 전에 연못이 하나 있다연못 가운데에는 향나무가 심어진 타원형의 섬이 있고 동쪽으로는 망묘루와 향대청이 있다망묘루望廟樓는 임금이 제사를 지낼 때 정전을 바라보며 선왕이든 국운이든 뭔가를 생각하는 곳이다건물 이름에 ''를 쓴 이유는 가장 서쪽에 있는 1간이 누마루로 돼 있기 때문이다(위 사진). 향대청香大廳은 제사에 쓰이는 향과 축문예물 등을 보관하고 제사를 맡은 관원들이 대기하던 곳이다.

자 배치를 이루는 망묘루와 향대청 안쪽에 1간 크기의 공민왕신당이 있다조선의 국가사당에 고려의 왕을 모시는 사당이 있다는 것이 의아하다그 연유에 대해 정확히 알려진 바는 없지만 신화와 같은 이야기가 전해진다종묘를 지을 때 북쪽으로부터 불어온 회오리바람에 실려 공민왕의 영정이 묘정에 떨어졌다는 내용이다설령 이 이야기가 사실이라면 조선 초 망한 고려를 그리워한 누군가가 타이밍을 잘 맞춰 날려보낸 것이 아닐까종묘 창건시에 건립됐다는 공민왕신당은 그러나 두 종묘전도에는 표시돼 있지 않다.

삼도는 정전의 정문인 신문으로 향한다하지만 방문객은 신도왕도 그렇다고 왕세자도 아니기에 동문을 통해 들어가 서문으로 나온다동문 안으로 들어서면 정전이 나온다(위 사진). 그리고 정전과 그 앞 월대月臺를 마주하는 순간 짧은 탄식과 함께 침묵할 수 밖에 없었다정전 영역에 들어서자 문화재해설사의 설명이 빨라졌다난 월대에 말이 놓일 자리는 없다고 생각했다그래서 해설사의 말과 가장 먼 자리로 갔다그곳은 월대의 모서리 끝이었다승효상은 월대를 "산 자와 죽은 자가 본원의 위치를 떠나 서로 만나는 듯한 중간 영역"이라고 설명했다뭐가 됐든 난 그 자리가 가장 편했다.

월대의 크기는 동서 109m, 남북 69m월대를 채우고 있는 건 한가운데 신로神路와 불규칙한 박석 뿐우연인지 신로가 수렴되는 가운데 판문板門만 열려 있었다분명 그 열린 문으로 들어가면 정전의 안쪽일 테지만 그 장면에서 그 판문은 정전의 바깥내가 알지 못하는 다음 세계로 향하는 통로 같았다. 잠시 후 다시 우연히 정전의 서쪽 간들의 판문이 모두 열렸다(위 사진). 반은 열리고 반은 닫혀 있는 정전을 보며 이곳에서 얻고자 했던 답을 너는 얻었느냐 라는 질문을 받는 듯했다그 질문이 버거워 눈을 돌리자 박석들이 보였다박석을 두고 승효상은 "땅에 새긴 신의 지문같다고 했다.

이번에는 월대의 반대편으로 갔다가이드의 설명은 계속됐지만 들리지 않는 그 웅성거림이 왠지 아득하게 느껴졌다월대에서도 저쪽의 세계와 이쪽의 세계는 같은 영역처럼 보이지 않았다월대 끝에서 정전을 바라봤다Scene을 채우는 건 수평선이었다정전의 용마루처마선기단부월대 그리고 정전 뒤의 녹음까지 모두 수평이었다현재 우리가 사는 도시는 고층건물로 가득하다그래서 매일 바라보는 장면은 수평 보다 수직이다그러니 종묘에서 보이는 수평선은 우리에게 낯설다정전의 긴 수평선은 종묘의 숭고미를 대표한다.

사실 정전 건물 자체만 보면 목조건물 치고는 긴 규모라는 점 외 이렇다 할 감흥은 없다정전은 1395년 7간에서 시작해 1546(명종원년) 4간이 추가돼 11간 그리고 임진왜란 직후 재건을 거쳤다이후 1726(영조2)에 4, 1836(헌종2)에 4간을 증축해 현재 감실 19간에 총 48위가 모셔져 있다정전은 그 규모가 몇 간이라 하더라도 완성된 건축이어야 했고 동시에 언제라도 증축을 고려해야 하는 유연한 건축이어야 했다.

2012년 9월 프랭크 게리Frank Gehry는 종묘를 다시 보고 싶어 한국에 왔다며공식 관람 전에 혼자 관람을 했다(동아일보, 2012.9.5). 게리는 "이처럼 장엄한 공간은 어디서도 찾기 힘들다며 비슷한 느낌을 주는 건축은 파르테논Parthenon 신전 정도뿐일 것"이라고 평했다짧은 식견으로 그의 평을 평하자면 종묘는 파르테논 신전이 아테네에서 누리는 시각적으로 압도적인 지위를 서울에서 누리고 있지 않다그래서 최소한 종묘는 파르테논 신전에서 느껴지는 교조적인 느낌이 없다.

게리가 종묘를 혼자 관람하고 싶다고 한 건 정전의 웅장함을 혼자 맞닥뜨리고 싶었기 때문이 아니라 그 앞 월대의 빈 공간에 혼자 서 있고 싶었기 때문일 것 같다그 순간이 오로지 절대 공간을 혼자 맞는온 우주를 대면하는 벅찬 순간임을 게리는 알고 있었다아마도 그 30분의 시간 동안 그는 아무말도 하지 않았을 것 같다난 조선의 왕들도 그 시간을 갖고 싶었을 거라 상상한다어쩌면 종묘의 정전과 월대는 산 자들이 죽은 자들을 위해 마련한 공간이지만 오히려 산 자가 차안此岸에서 얻지 못하는 무언가를 죽은 자가 있는 피안彼岸의 세계에서 살짝 들여다보기 위해 만든 공간이라고 생각한다.

해설사의 닦달에 이끌려 정전 영역을 나와 영녕전 동문으로 들어갔다영녕전은 세종3년에 처음 건립됐다(위 사진). 이후 1608(광해군 즉위년)에 10간 규모로 재건한 뒤 1667(현종8)에 좌우 협실 각 1, 1836(헌종2)에 다시 각 2간을 증축했다현재 정면 16간에 32위가 모셔져 있다영녕전의 구성은 정전과 거의 같지만 살짝 올라간 지붕의 길이가 정전에 비해 훨씬 짧다정전의 경우 좌우 협실 부분만 지붕이 낮지만 영녕전은 가운데 4간의 지붕만 높다많은 사람들이 정전 영역에 대해서는 다양한 생각과 감상을 설파하지만 영녕전 영역에 대해서는 별 말이 없다아마도 한눈에 볼 수 있는 영역의 크기가 인간계를 넘는 경외감을 주지 못하기 때문인 것 같다.

종묘를 관람하기 위해서는 문화재해설사의 안내를 따라야 한다자유관람은 매주 토요일과 매월 마지막 주 수요일(문화가 있는 날)만 가능하다종묘라면 당연히 그래야 한다고 생각한다하지만 문화재해설사의 설명이 종묘라는 공간의 몰입감을 떨어뜨린다는 생각이 들었다하루 몇 회 정도는 문화재해설사가 안내만 하고 설명은 하지 않는 '침묵의 해설 시간'을 마련해 보는 건 어떨까종묘에 대한 정보를 듣기 위함이 아닌 내 안의 목소리를 듣기 위한 관람시간이 마련되면 종묘를 더 실감할 수 있을 것 같다.

도시설계가 Archur

Archur가 해석하는 도시, 건축.
저서. <닮은 도시 다른 공간>

건축이야기꾼의 다른 글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