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문분야
- 설계
- 대표자
- 조수영, 박태상
- 설립
- 2013년
- 주소
- 서울 성북구 화랑로32길 68-1 (석관동) 1층
- 연락처
- 070-4204-4218
- 이메일
- st.suspicion@gmail.com
동촌댁
안성시 단독주택
은퇴를 앞둔 대학교수와 그의 부인을 위한 안성 동촌리의 집. 자녀들은 모두 출가했고 은퇴 후에 부부 둘이서 살 예정이다. 집의 2층은 북쪽 도로에서 들어와 남쪽으로 크게 열리고 1층은 경사지에 기대 동쪽을 향한다. 동쪽으로 내려가는 경사와 남쪽으로 열린 전망이라는 땅의 조건이 원하는 형태로, 각 층의 배치가 맞물려 꺾인 막대기 같은 모습이다. 높이 차가 한 층 정도인 경사지에 계단처럼 자리한 집은 층별로 각자의 입구를 가진다. 2층에는 식당, 주방과 안방이 있고 1층에는 서재와 영상실이 있다. 집의 공식적인 입구는 1층에 있지만 부부의 주 무대인 식당과 주방과 안방은 2층에 있는데, 도로와 동일한 높이인 2층의 접근성이 더 좋기 때문이다. 집이 작아 거실은 생략하고 식당을 넓게 쓴다. 식당은 남쪽 창을 건너 언덕 위 마당으로 열린다. 은퇴 후 저 멀리의 풍경을 향해 여행을 떠나는 부부의 갑판을 상상했다. 그래서 동촌 Deck이다.
대지는 집을 지으려고 새로 구한 땅이 아니라 예전부터 갖고 있던 곳으로, 집에 대한 계획도 이전부터 진행되어 왔다. 지역의 설계사무실 작업이 마음에 차지 않아 늦어지던 참에 건축주는 재직 중인 대학교의 건축과 학생에게 건축가 소개를 부탁했다. 학생은 같은 학교에 출강 중인 우리를 소개했고 그렇게 인연이 시작되었다.
다른 건축가가 작업한 원안도 좋은 설계였지만 규모가 크고 예산을 많이 초과해서 처음부터 다시 설계해야 했다. 원안은 경사지를 크게 성토해 평지를 만들고 그 위에 집을 놓게끔 계획했다. 경사지의 많은 전원주택이 이렇게 평지가 아니어서 아쉽다는 듯 경사를 없애고 시작한다. 이 선택도 합리적이긴 하지만, 우리는 이 주택이 경사지에 어울리는 모습이길 바랐다. 경사를 따라 건물을 계단식으로 놓으면 땅에도 어울리고 공사비도 아낄 수 있다. ‘등산하듯이 성토한 옹벽을 오르고 평탄한 마당을 지나 1층을 거쳐 2층에 도달하는 동선이 아니라 어느 층에서도 땅에 닿아있는 계단식 건물이 경사지에 어울린다. 그러니 집에서 가장 전망 좋은 2층에 식당과 주방과 안방이 있어도 이상하지 않다’고 판단했다.
대지의 남쪽에 면한 더 큰 땅도 건축주의 소유라 혹시 모를 건축에 대비해 집 앞에 사도 개설을 위한 공지를 마련해 두고 그만큼의 건폐율도 남겼다. 지금 당장은 건축주의 은퇴 후 직업인 농사를 위한 땅이라 동촌댁은 귀농주택이기도 하다. 농사 도구의 보관을 위해 1층 안쪽에 창고도 만들었지만 건축주는 창고의 활용에 대해 다른 계획을 갖고 있는 듯하다.
△ 남측 풍경이 보이는 2층 식당
△ 계단실에서 서로의 인기척을 느낄 수 있는 유리블록
△ 안방에서 바라본 식당과 주방
△ 외부 공간과 바로 이어지는 안방의 큰 창
부부의 주 무대인 식당과 주방은 남쪽의 언덕 위 마당으로 이어진다. 주방에서 바라보면 양쪽으로 큰 창이 나 있고, 식당 건너편에 안방이 보인다. 1층으로 내려가는 계단에선 안방의 유리블록을 통해 서로의 인기척을 느낄 수 있다. 경사 지붕의 끝 창으론 부드럽고 균일한 빛이 들어온다. 이 모든 장면을 한 눈에 담을 수 있는 아일랜드 주방이 단연 공간의 주인이다. 주방 뒤편에는 제법 큰 다용도실이 자리하며, 이곳을 통해 2층 현관으로 나갈 수 있다. 2층 현관 앞에는 짐을 부리기 좋도록 잠깐 주차할 수 있는 작은 공터를 만들었다. 2층에도 주차가 가능한 점은 경사지에서만 누릴 수 있는 특권이다.
주방 건너편 안방 영역은 침실, 드레스룸, 안방 화장실과 다락으로 이루어져 있다. 옷과 짐을 수납공간으로 치워 침실을 깨끗하게 유지하고자 했다. 앞집 너와지붕 너머의 풍경을 바라보며 남쪽의 데크로 나갈 수 있다. 안방과 식당은 남쪽을 향해 나란히 놓여 있다.
△ 현관에서 2층과 바로 이어지는 계단
△ 1층 복도에서 바라본 미디어룸
△ 1층 미디어룸
△ 1층 복도에서 서재측을 바라본 모습
△ 1층 서재
계단을 따라 내려간 1층은 2층과 다르게 경사를 등지고 동쪽을 향해 나란히 놓인다. 2층이 풍경을 향했다면 1층은 지형을 따른 셈이다. 계단은 1층 현관과 바로 이어지도록 배치하고, 1층 현관 양 옆에는 서재와 영상실을 두었다. 안방의 일부분이었을 기능을 떼어내 서재를 만들고 거실의 일부분이었을 기능을 떼어내 영상실을 만들었다. 기능마다 별도의 방을 만들어 더욱 충실한 공간이 되도록 했다. 현관에서 각 방으로 갈라지고 계단을 통해 2층으로 올라가니 동선도 따로 작동한다. 지금은 모든 방이 주인 부부의 것이지만 나중에 방의 역할이 달라져도 그에 맞춰 사용할 수 있도록 영역의 독립성도 챙겼다.
깊은 곳과 얕은 곳이 따로 없고 위층과 아래층이 따로 없는 집이 되기를 바랐다. 도로에서 보듯 밀실하고 견고하되 마당에서 보듯 어디서든 바깥과 닿는 집이 전원의 집이라고 생각한다. 경사를 따라 놓인 건물로 어느 정도는 그렇게 된 것 같다. 건축주 부부의 은퇴 후의 여정이 동촌댁을 타고 따뜻하게 이어지기 바란다.
건축개요
위치 | 경기도 안성시 서운면 동촌리 |
---|---|
규모 | 지상 2층, 다락 |
건축면적 | |
건폐율 | |
구조 | 철근콘크리트 |
최고높이 | |
시공 |
용도 | 단독주택 |
---|---|
대지면적 | |
연면적 | 143.90㎡ |
용적률 | |
주차대수 | 1대 |
사진 | 최진보 |
설계 | 수상건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