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阿! :百濟] : ‘아름답다! 백제여’라고 읽어도 되며
3. 아a름다운 100개의 집z이라도 해도 좋다.
- 전문분야
- 설계
- 대표자
- 성상우, 오혜정
- 설립
- 2004년
- 주소
- 경기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두창리 891 1층
- 연락처
- 010-8232-1357
- 이메일
- a0100z@naver.com
- 홈페이지
- http://a0100z.com/
펜트하우스와 옥탑방 사이
본 프로젝트는 건물주 건물위에 작은 오두막을 증축하는 계획입니다 . 증축 되는 오두막의 이름은 강재정사입니다 .
먼저 이 건물을 건축주에게 의뢰 받았을 때 건축주는 본 건물 일층에 작은 사무실을 가지고 있습니다 . 생계를 위해 아웅다웅하는 본 건물의 일층 사무실에서 벗어나 , 한문 고전의 독서와 명상을 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 했으면 하는 바램으로 본 프로젝트가 시작되었습니다 .
강재의 강은 논어 자로편에 나오는 剛毅木訥近仁 에서 따온 건축주의 호입니다 . 강의목눌의 뜻은 강하고 굳세고 물욕에 굽히지 않고 질박하고 어눌하면 외물에 치닫지 않으니 그러므로 인에 가깝다는 것입니다 . 精舍 는 ①학문 (學 問 )을 가르치려고 베푼 집이라는 뜻과 ②정신 (精 神 )을 수양 (修 養 )하는 곳이라는 뜻이 있습니다 . 강재와 정사라는 두 단어가 공간을 어떤 형상으로 만들까에 대한 전부라고 생각합니다 . 본 건물은 앞서 설명 하였듯이 낮에는 독서와 명상을 밤에는 동문수학하는 교우들과 고전을 강론하는 공간으로 계획했습니다 .
초기안
최종안
정사의 의미와 너무나 딱 맞는 쓰임을 가진 곳입니다 . 먼저 이 기존의 건물은 남쪽을 제외하면 2.8m 의 높은 담으로 둘러쌓여져 있어 옥상에서의 좋은 조망과 외부 입면보다 자기 내면을 성찰 할 수 있도록 장식 배제하고 소박하게 하였습니다.
그래서 정사 안의 내부는 한자 창호로 마감 되어 은은한 빛이 가득하고 작은 마당위로 하늘을 올려다보는 것이 전부 입니다 .
내,외부 사진
이 강재정사는 세상을 굽어보는 화려한 주택이기보다
하늘 우러러 보며 청빈하고 소박한 삶을 꿈꾸는
옥탑방이 되기를 기원한다 .
이 정사는 6 칸을 ㄷ자형으로 꺽여진 평면입니다 . 면적으로 하면 약 14 평 정도 입니다 . 2 칸은 강론을 위한 공간이고 1 칸은 다실 , 1 칸은 휴식을 위한 침소 1 칸은 부엌 마지막 한칸은 화장실과 샤워장입니다 . 형식은 목조결구식으로 했습니다 .
왜 목조로 했나면 건축주가 아파트 생활에서 벗어나 교외에 주택을 지을 경우 사랑채로 옮겨 갈 생각과 정사라는 쓰임에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되어서 입니다 .
이 정사는 재료는 질박하고 소박하다라는 의미를 살려 지붕과 내외벽 재료를 합판으로 하였습니다 . 내부는 스프러스 엠보합판이고 외부는 더글라스 엠보합판 , 지붕은 내수합판으로 하렸습니다 . 목물장 (샤워실 )마저 합판으로 했습니다 . 지붕과 목물장을 제외하면 합판위에 다른 어떤 마감도 하지 않았습니다.
합판이라는 가장 흔하디 흔한 재료에서 새로움을 발견해보자는 의도가 있었습니다 . 그리고 마감재료의 공사에도 가급적이면 피스로 고정을 하여 향후 옮겨가도 재활용 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 이 정사는 시공기간이 17 일 정도 소요 되었습니다 .
집의 골격을 이루는 목재는 프리 컷 시스템으로 치목하여 와서 3 일만에 조립하고 그외에 내외부 마감 공사에 2 주 정도 소요 되었습니다 . 다만 , 작업 공간의 부족과 내부 가구를 현장에서 제작하다 보니 조금 더 소요되었습니다 . 만약 부재들을 공장이나 목공소에서 제작하고 제재하여 오면 보다 짧은 기간에 만들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 무엇보다 대부분의 재료가 나무이고 한자라 보니 내부 공간에 앉아 있는 것만으로 마음이 고요해지는 것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
그리고 밤에도 밝지 않은 공간을 위해서 조명 계획도 다운 라이트가 아닌 직접 제작한 한지 좌등으로 하였습니다 .
그리고 남측에도 불투명폴리카보네이트로 막고 대나무 식재를 하여 낮에는 은은한 빛이 내부 창호에 그려지도록 했습니다 .2.8m 의 가벽에 맞추다 보니 집이 드러나 보이지 않습니다 . 그리고 지붕을 합판으로 하다보니 처음 계획대로 작은 오두막이 되었습니다 . 물욕에 치닫지 않고 외물에 현혹 되지 않은 자기 성찰과 수양의 공간 , 이런 공간이 우리의 일상에 많이 필요한 시대가 되었습니다 .
현대의 자본주의에서는 쓸데 없는 무용의 공간일지 모르지만 , 보다 나를 발견하여 자연과 하나 되는 삶에는 이런 공간들이 도시의 자투리 땅에 많이 세워졌으면 하는 것이 저의 바램입니다 .
옛날의 마을들을 보면 공동체가 지속적으로 영위 할 수 있는 이유 중에는 갈등 해소를 위한 놀이의 공간과 참된 삶을 위한 교육의 기간이 많았다는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