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별자의 삶의 플래폼인 건축 그리고 그 물리적 집합체이자 공동체의 플래폼인 도시에 대한 포괄적 관심을 바탕으로, 그 실무적 이행으로 규모, 용도, 지역, 조건에 구애받지 않는 다양한 건축/도시디자인 프로젝트, 연구개발계획, 전문교육 등의 활동을 폭넓게 수용한다.
경계를 한정하지 않는 H2L의 작업과 그 방식은 공간space이 한 사회의 발전을 이끄는 중요한 매체임을 이해하는 다양한 클라이언트, 관계전문가, 협업건축가, 건축학 수련자들과 공유될 것이며, 이는 개별 프로젝트의 주제 아래 함의된 보편의 사고를 건축적, 도시적 주제로 해석해 사회공간에 환원함이 건축가의 직능을 다하는 길이라는 믿음에 기반한다.
- 전문분야
- 설계
- 대표자
- 황정현
- 설립
- 2015년
- 주소
- 서울 중구 다산로10길 10-5 (신당동, 자강헌) 202호
- 연락처
- 02-464-1019
- 이메일
- h2l.hwangjh@gmail.com
매호재(梅湖齋)
Gallery Plum and Lake, Gangwon
매호재(梅湖齋)는 강원도 양양의 포매 호수 자락, 매화 가지를 닮은 산새를 등진 얕은 경사지에 자리한다. 앞으로는 고즈넉한 솔숲과 왜가리 서식지가 펼쳐진, 뒤로는 산자락 끝 둥그스름한 동산이 감싸주고 있는 이곳은 건축주 부부의 소장품을 전시, 보관할 아담한 전시공간과 별장의 역할을 겸할 수 있는 갤러리 하우스의 입지로 부족함이 없었다. 오히려 건축가에겐 사방으로 펼쳐진 풍경의 막연함 위에 건축을 앉히는 방법을 고민하게 하는 장소였다. 단 몇 뼘의 공간에도 수많은 이해관계가 충돌하는 도심지에 비해 너무나도 너그러운 이곳의 환경, 그리고 그 위에 하나의 점을 찍듯 들어서야 하는 건축은 ‘필지’를 넘어 ‘대지’의 차원에서 다루어져야 했다.
도심의 ‘필지’에 지어지는 집이라면, 앞마당을 두고 집이 물러나 앉는 방식이 좋을 것이다. 한정된 면적의 필지가 다닥다닥 붙어있는 도시공간의 틈에서, 앞마당에 드는 볕과 아늑한 정원이 만들어 내는 장면은 그 집의 유일하고 소중한 풍경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내 것과 네 것의 구분이 모호하고 나의 풍경과 우리의 풍경이 별개의 것이 아닌 이곳에 놓을 집은 조금 다른 방식이길 바랐다. 막연한 하나의 풍경보다 건축으로 인해 나누어진 두 개의 풍경, 즉 나를 감싸는 외부의 풍경과 내가 감싸는 내부의 풍경으로 나누어지는 경계에 건축이 존재한다면 어떨까. 모두와 함께 보는 풍경과 나만을 위한 풍경이 켜를 나누어 공존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대지의 성질을 해석하고 이에 적합한 건물의 자리를 고민하는 것에서부터 설계를 풀어나갔다.
△ 건물 형태 변화 과정
구체적인 계획은 균질한 풍경을 막아서는 하나의 볼륨을 설정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되었다. 뒷동산에서부터 전면 솔숲까지 이어진 너른 풍경을 둘로 나누는 박공형태의 볼륨을 부지 전면에 횡으로 배치함으로써 대지를 앞과 뒤로 나누었는데, 경사지에 순응해 쌓은 기단 위에 올려 전면을 조망하는 적절한 높이의 시점을 확보했다. 그리고 박공 볼륨의 양단에 뒷마당을 감싸는 두 개의 입방체를 덧붙여, 뒷산과 함께 사적인 중정의 풍경을 만들 수 있게 하였다. 결국 레벨이 다른 앞과 뒤의 마당이 생긴 셈인데, 기단의 틈으로 들어가 솟아오르는 계단을 설치해 흥미롭고 독립적인 진출입 동선을 형성함으로써 단차를 극복하고자 했다.
△ 박공형태의 볼륨을 부지 전면에 횡으로 배치함으로써 대지를 앞과 뒤로 나누었다.
△ 박공형태의 볼륨을 기단 위에 올려 전면을 조망하는 적절한 높이의 시점을 확보했다.
외부는 주변의 풍경을 깨지 않는 노출 콘크리트와 고벽돌, 그리고 아연강판으로 마감했고, 내부 역시 부착하는 마감재를 지양하고 콘크리트의 질감을 그대로 노출했으며 호두나무 합판으로 만든 건식 벽과 수납장만을 둠으로써 공간을 표현하는 시각적 자극이 최소화되길 바랐다.
△ 뒷동산과 건물이 만들어 내는 내적 풍경인 안마당
△ 건물이 감싸 안은 안마당
△ 안마당 너머로 보이는 갤러리
△ 안마당에서 보는 갤러리와 침실
△ 안마당에서 보는 침실
매호재는 지하에 차고, 수장고와 같은 주용도 외의 실들을 모아놨다. 그리고 1층은 갤러리를 기준으로 양옆에 침실과 게스트룸을 배치했다. 이곳은 생활 공간이지만 문이 없는데, 이는 문으로 용도를 제한하는 것보다 다양한 공간으로 활용 가능한 여지를 남긴 것이다. 그렇지만 전시장에서는 방이 보이지 않도록 고려하여 평상시에 프라이버시를 충분히 보호할 수 있도록 했다.
△ 갤러리
△ 갤러리 너머로 보이는 게스트룸
△ 갤러리와 게스트룸을 연결하는 복도
△ 게스트룸에서 보이는 풍경
△ 침실 공간 내 화장실
△ 갤러리 내 다용도실 및 화장실
△ 지하와 1층을 연결하는 계단
전시 공간의 경우 부엌의 역할을 겸하기도 해서 중간에 주방시설과 세면대가 달린 수납장이 섬처럼 놓여있다. 주방시설은 접이식 문을 달아 사용하지 않을 시 가릴 수 있도록 하였다. 세면대와 수납장은 눈에 띄지 않는 방향으로 배치했다.
△ 부엌 역할을 겸하는 전시 공간 중간에 주방시설이 섬처럼 놓여있다.
△ 주방시설의 문을 닫았을 때 모습 / 열었을 때 모습. 접이식 문을 닫으면 사용하지 않을 시 가릴 수 있다.
△ 세면대와 수납장은 눈에 띄지 않는 방향으로 배치했다.
일반 가정집과 달리 가구를 벽에 붙이지 않고 섬처럼 배치한 것은 동선이 끊어지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순환하는 동선은 작은 공간일수록 경험하는 공간을 더 크고 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그림을 감상하는 동선을 단절 없이 연결하여 주방과 수납장도 하나의 전시 작품처럼 느껴지도록 했다. 또한 관람객들은 ‘ㄷ’모양의 벽을 따라 자연스럽게 이동하며 창밖으로 달라지는 풍경을 감상하게 된다.
△ 관람객들은 ‘ㄷ’모양의 벽을 따라 자연스럽게 이동하며 창밖으로 달라지는 풍경을 감상하게 된다.
△ 가구를 섬처럼 배치한 것은 동선이 끊어지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 수납장도 하나의 전시 작품처럼 느껴지도록 했다.
지나치게 채워져 있어 그저 비워내기 바쁜 도시공간과 달리, 온통 비워진 공간에 작은 채움을 행하는 과정은 신중하고 또 신중해야 했다. 그 과정에서 우리는 우리의 건축 역시 이곳의 풍경에 찍힌 작은 점에 불과함을 깨달아 갔다. 이는 프로젝트를 공부해 가는 방향을 잡게 해 주었고 나아가 보여지는 건축이 아닌 건축을 통해 보는 풍경에 집중할 수 있는 이유가 되었다. 결국 건축은 자연과 조우하는 수단이 됨으로써 이곳에 존재할 이유를 얻은 셈이다.
지하 1층 평면도
① 입구 ② 복도 ③ 주차장 ④ 유희실 ⑤ 창고
1층 평면도
⑥ 갤러리 ⑦ 침실 ⑧ 손님방 ⑨ 화장실 ⑩ 테라스 ⑪ 자쿠지
건축개요
위치 | 강원도 양양 |
---|---|
규모 | 지하1층, 지상1층 |
건축면적 | 123m² |
건폐율 | |
구조 | 철근콘크리트 |
최고높이 | |
시공 | Builder and Builders (이상욱) |
용도 | 단독주택 (갤러리하우스) |
---|---|
대지면적 | 407m² |
연면적 | 238m² |
용적률 | |
주차대수 | 3대 |
사진 | 윤동규 |
설계 | Architects H2L |
자재정보
외부마감 | 고벽돌, 노출 콘크리트, 징크판넬 |
---|---|
창호재 | |
마루 | |
주방가구 | |
욕실기기 | |
현관문 | |
붙박이장 |
내부마감 | |
---|---|
지붕재 | |
실내가구 | |
욕실마감 | |
조명 | |
실내문 | |
데크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