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문분야
- 설계
- 대표자
- 허길수
- 설립
- 2015년
- 주소
- 서울 중구 필동3가 39-20 하제의숲 1층
- 연락처
- 02-318-4001
- 이메일
- reallab.kr@gmail.com
- 홈페이지
- http://reallab.kr
목가삼간(木家三間)
내재된 질서가 선사하는 삶의 풍경
경기도 연천의 목가적인 풍경이 매력적인 대지. 한적한 대로변을 따라 펼쳐진 논밭을 마주한 대지는 명확한 경계로 인해 오롯이 자연과 거주자의 행위(activity)와 둘 사이의 관계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곳에 3명의 아이와 젊은 부부가 함께 살기 위한 작은 집이 지어졌다.
목가삼간(木家三間)은 목조로 이뤄진 세 칸의 거실과 다락공간을 중심에 둔 작은 집이다. 세 칸의 기둥과 보로 이루어진 구조는 내부 공간을 분절하고 통합하는 일종의 ‘내재된 질서’가 되어 가족의 시각적, 공간적 경험을 확장하고 자연을 삶의 일부로 적극 끌어들인다.
△ 모형 사진
△ 그래픽 이미지
'목가삼간'은 기본적으로 남향의 튼 ㅁ자집 구성을 따랐다. 서측의 대로를 등지고 북측에서 진입하는 기본 평면 형태를 계획했으며, 북서쪽을 가린 ㄱ자 형태를 가지되 동측 작은방 공간을 활용하여 마당 공간을 자연스레 담아내고자 했다.
1층의 벽돌 벽면은 안으로 들인 사이 공간으로 분절시켜 목재 루버로 구분함으로써 내부 공간을 간결하면서도 묵직하게 잡아준다. 목재 루버로 구성된 사이 공간은 내부를 외부로, 외부를 내부로 확장하는 전이공간이다.
△ 데크와 마당
△ 데크와 마당
자연재료로 구성된 외벽을 따라 구성된 전면 데크와 마당은 각 실로 연결되어 경계 지어지지 않고 연속되는 외부 중심공간이다.
△ 거실
1층의 거실 공간은 기둥을 제외하고는 구성된 면을 모두 창으로 계획하여 내부의 구법을 암시한다.
세 칸의 거실 공간은 남북 쪽의 외부 데크로 확장하며, 막힘없이 외부공간과 교감하는 중심공간으로 계획하였다. 이는 대청을 중심에 두고 배치된 전통한옥의 모습을 차용해온 형태이다.
△ 거실
1층 중목 구조는 다락을 구성하면서 거실의 볼륨을 형성하였다. 세 칸으로 이뤄진 기둥 · 보의 모듈은 공간을 분절하고 통합하는 일종의 ‘내재된 질서’이다. 이 질서는 주방, 사랑방 등으로 연속하여 공간이 흐르게 하기 위함이다. 거실과 다락의 볼륨은 안방과 주방의 볼륨과 작은방 볼륨으로 이뤄진 두개로 분절된 매스를 엮어주고 주방과 다락의 채광을 돕는다.
△ 식당
△ 사랑방
세 아이를 키우며 거실이 중심 공간이되, 부부 공간을 명확히 하고 부부가 가장 많이 생활하는 주방과 거실, 거실과 안방 사이에 다실, 손님방, 서재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공간을 원했던 건축주를 위해 작은 사랑방을 만들었다. 또한 사랑방은 기둥과 보로 이뤄진 세 칸의 거실 구조의 수평 방향의 힘(횡력)을 견뎌내는 전단벽의 역할을 한다.
다락은 목재탄화목을 오픈조인트로 구성하여 가볍지만 매스감을 살렸다.
△ 다락
① 현관 ② 다용도실 ③ 창고 ④ 주방 및 식당 ⑤ 사랑방 ⑥ 안방 ⑦ 거실 ⑧ 방
① 다락
건축개요
위치 | 경기도 연천군 군남면 |
---|---|
규모 | 지상1층(다락포함) |
건축면적 | 115.38㎡ |
건폐율 | |
구조 | 경량목구조+중목구조 |
최고높이 | |
시공 | 케이에스 하우징 |
용도 | 단독주택 |
---|---|
대지면적 | 599㎡ |
연면적 | 116.09㎡ |
용적률 | |
주차대수 | 1대 |
사진 | 허완 |
설계 | 건축사사무소 리얼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