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gure는 모습, 형상, 그림, 값, 수치, 도표 등으로 번역합니다. 동사로는 이해하다, 계획하다, 설명하다, 예상하다 라는 뜻으로 쓰이고, figurative라고 하면 비유적인, 구상적인 이라는 형용사가 됩니다. 문학에서 figure는 언어의 무늬를 그린다는 뜻에서 문채(文彩)라고 하고, 심리학에서 figure-ground라고 하면 전경-배경이라는 지각의 원리를 설명하는 용어입니다.
이렇듯 figure라는 말은 설명할 수 있고 이해할 수 있는, 구체적인 모습을 떠오르게 합니다.
클라이언트와 소통하고 프로젝트 구성원과 협의하며 사회의 필요를 반영하려면, 건축이 구체적인 모습을 가져야 합니다. 얼마큼 주위와 관계하고 땅을 가치 있게 사용하는지, 무엇으로 공간을 채우고 운영하는지, 어떻게 형태를 만들고 짓는지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말과 그림, 수치와 도표를 통해 이해할 수 있어야 합니다. 피그건축사사무소(fig.architects)는 설명할 수 있고 이해할 수 있는, 구체적인 모습의 건축을 합니다.
- 전문분야
- 설계
- 대표자
- 이주한
- 설립
- 2015년
- 주소
- 서울 중구 필동2가 123-4 3층
- 연락처
- 02-6405-1983
- 이메일
- fig@figarchitects.com
단단단단 기숙사
2. 디자인ⅰ
좁은 골목길에 신축 건물이 들어서는 방법
단단단단 기숙사는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층이 올라갈수록 건물이 앞으로 나오는 모양으로 되어있습니다. 정확히 말하면 층마다 25센티미터씩 튀어나오도록 설계되어 있어서, 1층에서 보면 5층은 1미터 정도 돌출되어 있는 형태입니다.
△ 층이 올라갈수록 건물이 25센티미터씩 앞으로 이동하는 형태
△ 북쪽 골목길에 5층짜리 건물이 서게되면 답답해질 우려가 있었습니다.
이런 형태로 설계를 한 이유는 앞서 설명한 남측과 북측의 다른 두 개의 골목길과 관련이 있습니다. 먼저 북쪽은 막다른 도로로서, 그 길을 둘러싸고 있는 집들을 위한 공용의 주차장이나 마당처럼 사용되고 있었습니다. 이곳은 큰 도로에서부터 우리 집까지 가는 길에 있는 동네의 작은 여유 공간입니다. 앞집 아주머니와 수다를 떨기도 하고, 여자친구와 헤어지기 아쉬워 몇 번을 왔다 갔다 하게 되는 그런 곳 말입니다. 이번에 기숙사를 새로 짓게 되면 부지의 일부를 도로로 내어줘야 하기 때문에 1층에서만 보면 골목길은 더 넓어지는 데다가 새로운 조경이 더해지면 훨씬 더 기분 좋은 장소가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숙사는 주변 건물에 비하면 엄청난 높이인 5층 규모로 들어설 예정입니다. 그동안 1~2층 건물들로 이루어진 편안한 동네 스케일에 익숙해져 있던 사람들에게는 매우 답답한 크기입니다. 더구나 기숙사가 남쪽을 막고 서기 때문에 더 어두워졌다고 느낄 수도 있고요. 그래서 우리는 새로 생기는 건물은 주변에 위압감을 주지 않고 동네와 잘 어우러져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 3.5미터 폭의 비좁은 남쪽 통과 도로는 더 이상 넓힐 수가 없었습니다.
남쪽의 통과 도로는 북쪽 길보다 통행량은 훨씬 더 빈번하지만 도로를 더 이상 넓힐 수가 없었습니다. 기존의 3.5미터 폭의 도로는 자동차와 사람이 함께 다니기에는 너무 비좁고 위험했습니다. 새로 생기는 건물만이라도 도로로부터 최대한 물러나서 길에 공간을 만들어 줄 수 있으면 좋겠지만, 기숙사로 운영하기 위해서 필요한 면적과 볼륨이 있기 때문에 물러설 수 있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그렇기에 최소한 도로와 직접 면하는 저층부 만이라도 공간을 좀 확보해서 넓게 만들어 주는 것이 필요했습니다.
△ 단단단단 형태로 북쪽은 하늘이 넓어지고, 남쪽은 도로가 넓어질 수 있었습니다,
이 건물을 설계하면서 건축주께서 당부하신 사항이 하나 있었습니다. 직원들을 위한 기숙사로 사용할 건물이니까, 모든 세대와 세대 내 방의 크기, 구성을 똑같이 만들어달라는 것이었습니다. 그곳에서 살게 될 직원들 간 형평성의 문제와 향후 유지관리의 용이성을 고려해서 하시는 말씀이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저층부와 고층부의 디자인을 달리하는 방식으로는 남쪽과 북쪽 길의 문제를 해결하기에 한계가 있었습니다. 주차장을 제외한 모든 층의 평면은 동일해야 했으니까요.
건물을 단단단단 튀어나오는 형태로 설계한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각 층마다 동일한 세대 평면을 반복해서 쌓아나가지만, 그 위치를 조금씩 이동시켜서 남과 북, 양측의 골목길에서 필요한 문제들을 해결하였습니다. 1층은 북쪽으로 최대한 붙여서 통과도로에 여유 공간을 확보하고, 위 층으로 올라갈수록 점점 더 남쪽으로 이동시켜서 북쪽 골목길에서는 하늘이 넓어지도록 만들었습니다.
△ 북쪽 길에서 바라본 모습
북쪽 길에서 보면 이 집은 1층에서 5층으로 올라갈수록 점점 후퇴하는 모양입니다. 비록 주변의 집들보다 절대적인 크기는 크지만 사람들이 받아들이기에는 건물이 똑바로 서 있을 때보다 훨씬 더 작게 느껴질 것입니다. 동네 사람들에게 익숙한 스케일인 1개 층 높이 2.7미터 단위로 건물이 분리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그로 인해서 신축 건물이 주변 동네에 줄 수 있는 위압감을 최대한 완화시킬 수 있는 것이죠.
그뿐만 아니라 부지 일부를 도로로 내어주면서 골목길 자체가 더 넓어졌고 건축물의 형태마저 위로 갈수록 단단단단 줄어드는 형태가 되면서, 동네의 마당과도 같은 골목길은 더 넓은 공간감을 가질 수 있게 되었습니다. 물론 이것은 채광 측면에서도 유리한 부분이 있기 때문에 골목길을 더 밝고 기분 좋게 만드는 데에도 도움이 되었습니다.
△ 남쪽에서 바라본 모습
남쪽에서는 북쪽과 반대로 5층에서 1층으로 내려올수록 점점 더 후퇴하는 모양입니다. 그래서 비좁고 위험했던 통과도로에 숨통을 열어줄 수 있습니다. 통과도로를 지나다니던 사람들은 어떻게 느끼게 될까요? 5층은 1층에 비해서 대략 1미터 정도 튀어나와있기 때문에, 건물이 길에 지붕을 씌워주는 것처럼 보입니다. 그 길을 지나다니는 사람들을 보호해주는 캐노피 역할을 하고 있는 셈입니다.
더욱이 1층의 필로티 공간은 단절되어 있던 남쪽과 북쪽을 연결해주기 때문에 답답했던 길에 여유가 생겼습니다. 건물 내부로 들어가는 주 출입구도 이 새로운 길에 만들었기 때문에 양쪽 골목길에서 자유롭게 접근이 가능합니다.
그렇다면 이 건물에 사는 사람들에게는 어떤 효과가 있을까요? '단단단단 기숙사'의 부지는 동서방향으로 긴 형태라서 건물의 가장 긴 부분이 정남향을 바라보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주거에서는 남향을 무척 선호하지만, 그렇다고 남향이 마냥 좋은 것만은 아닙니다. 여름철의 강렬한 직사광은 건물의 냉방부하에 큰 부담을 주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남향의 장점을 살리기 위해서는 적절한 차양으로 햇살을 조절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물론 좋은 단열재나 창호를 써서 해결하는 것도 가능하겠지만, 건물 자체가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형태가 된다면 더 좋겠다고 생각했습니다. '단단단단 기숙사'처럼 위로 갈수록 튀어나오는 형태가 되면 자연스럽게 아래층에는 그늘을 만들어주게 됩니다. 별다른 장치를 추가로 설치하지 않고 건축물 그 자체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차양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죠.
위압감을 없애고 동네에 더 시원한 공간을 만들어주는 것.
비좁은 길에 숨통을 열어주고 강렬한 햇살로부터 보호하는 것.
이것이 바로 '단단단단 기숙사'가 두 개의 좁은 골목길 사이에 들어가기 위해서 취한 방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