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별자의 삶의 플래폼인 건축 그리고 그 물리적 집합체이자 공동체의 플래폼인 도시에 대한 포괄적 관심을 바탕으로, 그 실무적 이행으로 규모, 용도, 지역, 조건에 구애받지 않는 다양한 건축/도시디자인 프로젝트, 연구개발계획, 전문교육 등의 활동을 폭넓게 수용한다.
경계를 한정하지 않는 H2L의 작업과 그 방식은 공간space이 한 사회의 발전을 이끄는 중요한 매체임을 이해하는 다양한 클라이언트, 관계전문가, 협업건축가, 건축학 수련자들과 공유될 것이며, 이는 개별 프로젝트의 주제 아래 함의된 보편의 사고를 건축적, 도시적 주제로 해석해 사회공간에 환원함이 건축가의 직능을 다하는 길이라는 믿음에 기반한다.
- 전문분야
- 설계
- 대표자
- 황정현
- 설립
- 2015년
- 주소
- 서울 중구 다산로10길 10-5 (신당동, 자강헌) 202호
- 연락처
- 02-464-1019
- 이메일
- h2l.hwangjh@gmail.com
슬릿하우스
필지의 조건은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변수 중 하나이다. 답사 시 훌륭해 보이는 필지일지라도, 그 이면에 숨어있는 한계와 제약을 이해하고 그 위에 보수적인 건축의 밑그림을 그려본 후 필지를 매입해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는 건축주는 흔하지 않다. 특히 기간과 비용의 심리적 압박이 상당한 소규모 주택 혹은 상가주택 프로젝트의 경우 더욱더 그러하다.
건축가를 찾아온 건축주는 의류 디자인과 판매, 그리고 두 아이의 양육까지 함께 하고 있던 부부로 꽤 먼 거리에 각각 위치했던 삶터와 일터를 한곳에 모아, 소위 직주근접의 삶을 구현하고자 집 짓기를 선택했다. 부부가 살펴본 필지는 경기도 구리시의 야트막한 언덕 위 마을이었다. 95제곱미터(28평)란 숫자로만 가늠했던 삼각형 땅은 인접한 공터 덕에 꽤 넓어 보였고, 중개인에게 전해 들었던 최대 용적률 확보 시의 면적이라면 가족의 집과 부부의 사무실, 그리고 임대공간까지 확보할 수 있을 거라 여긴 부부는 바삐 토지계약을 체결한 후 건축가를 찾아왔다. 하지만 기대와 달리, 정북방향 일조권 높이제한과 대지안의 공지(건축선 1M이상 이격) 규정이 상층부 확보와 대지 활용을 강하게 제약하고 있었고, 필수 조건이었던 별도의 지하층 출입구, 법정 조건인 2대의 주차면, 밀착해 있는 옆집과의 심리적 거리까지 고려하고 나니 실제로 확보할 수 있는 면적과 가용한 토지는 얼마 남지 않게 되었다. 결국 임대부를 포기하고도 빠듯하였던 거주공간의 최대 면적과 최적 조건을 찾는 것으로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사진. 김성철)
지하1층, 지상1층 - 근린생활시설
부부의 작업실 겸 전시장, 그리고 회의실과 창고를 포함하는 근린생활시설(지하1층, 지상1층)은 지하공간의 면적과 환경을 최적화함과 동시에 세장한 필지가 대지 내 소통을 단절시키지 않도록 계획했다.
1층 공간을 둘로 쪼개어 배면 필로티 주차장과 정면의 도로 사이 숨통을 틔웠고, 이로 인해 분리된 공간 중 삼각형의 좁은 부분에 위치한 공간을 간이 화장실과 보일러실 등 기능실로, 넓은 부분을 작업실과 사무실로, 통로를 필로티 포치로 설정함으로써 나름의 역할을 하게 했다. 또한 별도의 지하층 출입을 위해 주택으로 오르는 주 계단실 하부 사선을 그대로 열어, 땅 밑으로 향하는 또 다른 틈을 두었다. 그 과정에서 주 계단실의 난간 옹벽이 하부로 자라나, 마치 천장에서 내려진 난간의 역할을 해 오픈부의 안전을 확보하고 난간을 위한 철물이 부가되는 것을 생략했다.
△ 지상1층 작업실 겸 사무실 (ⓒ사진. 김성철)
△ 지상1층 작업실 겸 사무실 (ⓒ사진. 김성철)
△ 지하1층 작업실 (ⓒ사진. 김성철)
계단을 따라 내려가면 정면에 작은 선큰이 맞이하고, 선큰을 우측에 낀 채 지하실로 진입하면 작업실, 회의실로 이어지며 지하의 모든 공간에서 선큰을 통한 채광과 환기가 가능하게 했다.
△ 회의실 (ⓒ사진. 김성철)
지상 2층 ~ 4층 - 주거공간
가족이 생활하는 공간(지상 2,3,4층)은 여느 단독주택의 조건을 빠짐없이 담으면서도 삼각형의 대지에 걸맞은 형태적 컨셉을 찾으려 했다. 정북방향 일조권 한계선이 가리키는 제한의 사선을 오히려 디자인 모티프로 삼아, 법적 경계선에 건축의 상부 형태를 오롯이 맡기고 그 사선이 주는 긴장감을 건축의 각 부분에 적용했다.
테라스를 즐기는 4층 부의 볼륨, 주택부의 현관인 2층으로 오르는 계단실의 찢긴 틈, 그 아래 지하층으로 인도하는 계단실까지, 영역의 한계점을 형태의 시작점으로 전환했다. 뚜렷한 선의 컨셉을 유지하기 위해, 그리고 담백한 텍스쳐를 원했던 건축주의 바람을 위해서 선이 둘러싼 모든 부분은 노출콘크리트와 창호만이 포함되도록 계획했다. 특히 창호의 경우 넓은 도로와 밀착된 인접 건축물을 고려해, 중요한 몇몇 창호를 최대화하여 채광과 환기를 책임지게 하고 나머지 창호는 소형화함과 동시에 동선의 리듬에 맞추어 배치해, 프라이버시를 지키면서도 노출콘크리트 건축물의 외벽면을 넉넉히 확보했다.
△ 지상 2층 주거공간으로 올라가는 외부계단
대지의 장변에 접근하면 주차장으로 넘어갈 수 있는 작은 필로티와 함께, 사선의 틈과 캔틸레버 계단 몇 단이 자연스레 시선과 움직임을 2층으로 이끈다. 2층에는 내부까지 이어진 노출콘크리트 벽체를 가진 거실이 있다.
△ 현관에서 바라본 모습
△ 주방 및 거실 (ⓒ사진. 김성철)
△ 주방 (ⓒ사진. 김성철)
△ 주방에서 바라본 모습 (ⓒ사진. 김성철)
△ 계단
3층에는 온 가족이 사용하는 드레스룸과 2개의 침실, 4층에는 옥상으로 통하는 여분의 방과 천창을 가진 욕실이 이어진다.
△ 3층 드레스룸
△ 3층 포켓에서 바라본 침실
△ 4층 옥상테라스 (ⓒ사진. 김성철)
△ 주차장
대지의 다양한 조건들은 타고나는 성질과도 같고, 건축 프로젝트에서 어떠한 제약조건도 없이 무결한 필지는 존재치 않는다. '슬릿 하우스'는 대지의 형태, 대지에 적용되는 법규, 대지를 바라보는 건축주의 희망을 담담하게 수용해 건축으로 만들어 가는 과정에서 탄생한 집이다. 이는 이 집의 결코 평범하지 않은 형태가, 사실 대지의 가장 기본적인 성질을 바탕으로 자연스럽게 솟아난 것임을 보여주는 셈이다.
① 사무실 ② 회의실 ③ 주차장 ④ 현관 ⑤ 거실 ⑥ 주방 ⑦ 침실 ⑧ 포켓 ⑨ 드레스룸 ⑩ 옥상테라스
① 사무실 ② 회의실 ③ 주차장 ④ 현관 ⑤ 거실 ⑥ 주방 ⑦ 침실 ⑧ 포켓 ⑨ 드레스룸 ⑩ 옥상테라스
건축개요
위치 |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 |
---|---|
규모 | 지하1층, 지상4층 |
건축면적 | 51.96㎡ |
건폐율 | 54.69% |
구조 | 철근콘크리트조 |
최고높이 | |
시공 | BNB Construction |
용도 | 단독주택, 근린생활시설 |
---|---|
대지면적 | 95.00㎡ |
연면적 | 213.06㎡ |
용적률 | 170.11% |
주차대수 | 2대 |
사진 | 정우철, 김성철 |
설계 | Architects H2L |
자재정보
외부마감 | 노출콘크리트 |
---|---|
창호재 | |
마루 | 강마루 (주거공간) |
주방가구 | |
욕실기기 | |
현관문 | |
붙박이장 |
내부마감 | 주거공간: 석고보드 위 고급벽지 / 작업실: 석고보드 위 수성페인트, 에폭시 |
---|---|
지붕재 | |
실내가구 | |
욕실마감 | |
조명 | |
실내문 | |
데크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