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문분야
- 설계
- 대표자
- 김길령
- 설립
- 2013년
- 주소
- 서울 종로구 체부동 141-2
- 연락처
- 02-737-8605
- 이메일
- soserno@daum.net
퇴촌켜켜
몇 년 전 작업했던 상가주택 건축주의 소개로 만나게 된 의뢰인 가족. 기존에 작업한 주택들을 함께 돌아보고 작업방식을 설명해 드렸더니, 두 번째 만남에서 바로 (건축)결정을 하였다. 프로젝트 중 월산리 주택이 특히 마음에 들었다는 부부는 결국 월산리 주택을 시공한 업체까지 동시에 의뢰를 해주었다. 함께 의견을 나누며 준공까지 변함없는 지지를 보내준 덕분에 처음부터 끝까지 순조롭게 집이 완공되었다.
겹겹의 공간이 선사한 안락한 삶
답답한 공간을 싫어하는 아내와 집에서만큼은 누구의 시선도 의식하지 않고 편안하게 휴식하고 싶은 남편. 부부는 아이들이 놀기 좋은 공간과 썬룸, 열린 공간 등 각자의 요구사항을 정리해 우리에게 주었다.
대지는 매우 독특했다. 전면으로 도랑이 흘러 진입로에 다리를 설치해야했고, 탁 트여 있는 주변으로 다세대주택들이 들어서있어 프라이버시에 대한 건축적 처리가 무엇보다 중요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집을 본동과 썬룸, 두 채로 분리한 후 서로를 마주 보게 배치하고, 이웃 건물과는 시선이 마주치지 않도록 사선으로 배치하였다. 덕분에 작은 여백들이 대지 곳곳에 생겨 가족의 생활에 맞춰 다채롭게 공간을 활용할 수가 있게 되었다.
외부의 시선으로부터 자유로워지다
시스루한 공간과 비밀스럽지만 열려있는 공간, 보이지 않는 공간 등 외부에서 내부까지 여러 겹의 공간이 켜켜이 겹쳐있는 크루아상을 같은 공간을 떠올리게 한다. 사방으로 열린 대지에서 가장 큰 관건은 밖을 바라보는 시선은 열어두고, 내부의 프라이버시는 보호하는 공간을 만드는 것이기에 켜켜이 겹쳐있는 공간들은 자연스럽게 가족을 위한 안락한 삶의 공간을 만든다.
하나의 큰 덩어리에서 작은 덩어리가 떨어진 듯한 느낌이 들도록 동일한 외장마감이 사용된 주택은 가족의 프라이버시를 위해 바깥면의 창을 최소화하였다. 대신 서로 마주보는 안쪽 면은 가족을 위해 열려있는 부드러운 공간임을 강조하기 위해 루나우드로 마감한 후 큰 창을 설치하여 개방감을 극대화하였다.
△ 썬룸 뒤로 위치한 담장
△ 썬룸과 본동 사이에 위치한 중간 마당
아늑하고 편안함을 주는 나무
미술을 전공한 아내는 목재를 좋아하여 목구조가 드러나기를 원했다. 이러한 취향을 반영하여 인테리어는 화이트 & 우드로 깔끔하고 담백한 분위기를 내는 것으로 정했다. 적어도 집에 있을 때만큼은 외부의 시선에 아랑곳하지 않고, 아늑하고 편안하게 머물 수 있도록 하는데 나무가 주는 재료의 물성이 좋은 선택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그렇게 노출된 중목구조는 그 자체로 집의 중심이 되며 부드럽고 따뜻한 분위기를 연출한다.
△ 1층 현관에 들어서면 복도 옆에 화장실이 위치해 있다
△ 중목구조가 보이는 거실과 주방
△ 거실에서 주방을 바라본 모습
흐르는 공간, 순환하는 동선
1층에는 거실, 주방 및 식당, 썬룸과 같은 공용공간을 배치했다. 아이들은 1층 외부에 있는 툇마루를 통해 거실에서 주방과 식당까지 내, 외부를 자유롭게 다니고, 썬룸과 곳곳의 작은 마당까지 마음껏 뛰어놀 수 있도록 했다. 썬룸은 별도의 동으로 구성하면서 크기를 작게 할애했지만, 사이 마당을 통해 본동과 연계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 거실과 썬룸은 서로 마주보고 있다
△ 외부 마감은 스토로 하고, 마주보는 부분은 루나 우드로 처리했다.
△ 계단참에서 바라본 주택의 모습
△ 2층 방의 벽체와 지붕을 분리하여 깊이감을 의도했다
△ 2층 놀이방과 화장실
△ 2층 화장실
△ 2층 화장실
△ 2층 복도에서 바라본 모습
△ 2층 침실
내부 계단을 통해 올라가면 2층에는 가족 침실과 욕실이 있다. 가족의 침실과 욕실이 위치한 2층은 벽체와 지붕을 분리하여 깊이감을 부여한다. 또한 화장실을 제외한 모든 방에 슬라이딩 도어를 설치하여 1층에서의 자유로운 흐름이 위층까지 이어지도록 했다.
△ 퇴촌켜켜 야경
△ 퇴촌켜켜 야경
△ 썬룸에서 거실을 바라본 모습
△ 1층 야경
가족이 입주한 뒤, 고맙게도 아직은 집이 좋다는 후기만 들려주셨다. 건축가로서 이렇게 주변에 열려있는 대지에 어떻게 주택을 지을 것인지가 너무도 큰 숙제였다. 집은 다름이 아니라 가족의 보금자리이자 편안한 안식처여야 하기 때문이다. 퇴촌켜켜가 물리적인 땅의 제약을 극복하고 열려있으면서도 아늑하고 신나게 뛰어놀기 좋은 그런 집이 되어주길 바란다.
건축개요
위치 |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광동리 |
---|---|
규모 | 지상 2층 |
건축면적 | 72.72㎡ |
건폐율 | 19.98% |
구조 | 경량목구조 |
최고높이 | 8.38m |
시공 | 윤형근 |
용도 | 단독주택 |
---|---|
대지면적 | 363.97㎡ |
연면적 | 136.56㎡ |
용적률 | 37.52% |
주차대수 | 1대 |
사진 | 노경 |
설계 | 씨엘건축사사무소 김길영 |
자재정보
외부마감 | STO 외단열시스템, 루나우드 |
---|---|
창호재 | |
마루 | 구정마루 합판마루, 포세린타일 |
주방가구 | |
욕실기기 | |
현관문 | |
붙박이장 |
내부마감 | 벤자민무어 친환경 도장, 에덴바이오 벽지 |
---|---|
지붕재 | 컬러강판 |
실내가구 | |
욕실마감 | |
조명 | |
실내문 | |
데크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