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튜디오22는,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지금 뿐 아니라 다음 22세기를 살아갈 누군가에게도 쓸모 있는 것들을 만들기 위해 고민하며, 건축을 기반으로 드로잉, 가구, 인테리어, 조경 등 우리의 삶과 마주한 부분들로 디자인 영역을 넓혀가고자 합니다.
- 전문분야
- 설계
- 대표자
- 이동우
- 설립
- 2020년
- 주소
- 서울 강서구 공항대로 168 (마곡동) 마곡747타워 1313호
- 연락처
- 02-6925-2201
- 이메일
- studio22kr@gmail.com
- 홈페이지
- http://studio22.kr
다정다감
이번 프로젝트는 한국예술종합학교와 의릉을 품고 있는 천장산 아랫자락에 있다. 건축주는 이곳에 흔히 '원룸'이라 불리는 임대주택 용도의 신축사업을 진행하고자 했다. 주변에서 보이는 원룸의 일반적인 유형은 40평 남짓 작은 땅에 최소면적으로 방을 나눠 개수를 최대한 늘리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이에 개의치 않고, 적정한 방 개수를 확보하면서 지형과 조망을 적극적으로 고려하여 주변 임대주택과 차이를 만들어 내는 것으로 방향을 잡았다.
대지는 전면도로 좌우로 약 1m, 대지 남북 방향으로 약 1.5m의 고저 차가 있다. 북쪽으로 지형이 낮아지는 경사지로, 시원한 조망을 확보하기에 적합했다. 우리는 이 가파른 경사 지형을 활용해 지하 같지 않은 지하층을 만들고, 산 중턱에서 바라보는 도심의 풍경을 최대한 담아내는 것이 목표였다.
각 실의 독립성과 공용부분의 조망 등을 위해 평면에서 '틈'을 많이 만들었다. 그리고 그 '틈'이 지하의 작은 뜰(庭/선큰)까지 연결되도록 했다. 더불어 지하의 5개 선큰을 통해 지하 환경을 개선하고, 각 실 및 공용공간에서 볼(監) 풍경이 많은 건축물을 계획했다.
북쪽으로는 원룸 2실, 도로 쪽으로 원룸 1실과 계단실, 엘리베이터가 있다. 각 방 사이사이는 복도나 보일러실 등으로 이격해 세대 간 소음에 유리하도록 했으며, 복도의 북쪽을 열어두어 좋은 경치를 바라볼 수 있도록 계획했다.
외장재는 2가지 톤의 벽돌타일을 구분하여 사용했다. 이를 통해 평면과 입면의 틈들을 강조하고, 북측 창의 디자인도 볼륨에 따라 변화를 주었다.
① 선큰 ② B101호 ③ B102호 ④ 화장실 ⑤ 공동취사장 ⑥ 복도 ⑦ 근린생활시설 ⑧ 정화조 ⑨ 펌프실
① 전용테라스 ② 101호 ③ 화장실 ④ 보일러실 ⑤ 복도
① 201호 ② 공용발코니 ③202호 ④ 화장실 ⑤ 보일러실 ⑥ 복도 ⑦ 203호
① 301호 ② 공용발코니 ③302호 ④ 화장실 ⑤ 보일러실 ⑥ 복도 ⑦ 303호
① 옥상 ② 다락
① 옥상
① 펌프실 ② 화장실 ③ B101호 ④ 101호 ⑤ 201호 ⑥ 301호 ⑦ 근린생활시설 ⑧ 203호 ⑨ 303호 ⑩ 303호 다락
① B102호 ② 화장실 ③ 공동취사장 ④ 근린생활시설 ⑤ 정화조 ⑥ 주차장 ⑦ 202호 ⑧ 실외기실 ⑨ 203호 ⑩ 302호 ⑪ 303호
건축개요
위치 | 서울시 성북구 석관동 |
---|---|
규모 | 지하1층, 지상3층 |
건축면적 | 81.55㎡ |
건폐율 | 59.96% |
구조 | 철근콘크리트구조 |
최고높이 | 9.64m |
시공 | KCL건설 |
용도 | 단독주택(다중주택) |
---|---|
대지면적 | 136.00㎡ |
연면적 | 273.30㎡ |
용적률 | 145.47% |
주차대수 | 2대 |
사진 | 김한석 |
설계 | Studio22 |
자재정보
외부마감 | 벽돌타일, 로이복층유리 |
---|---|
창호재 | |
마루 | |
주방가구 | |
욕실기기 | |
현관문 | |
붙박이장 |
내부마감 | 지정벽지, 강마루, 목재패널 |
---|---|
지붕재 | |
실내가구 | |
욕실마감 | |
조명 | |
실내문 | |
데크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