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축주와 건축의 전과정을 동반자의 마음으로, 농사짓는 농부의 마음으로 보듬고 살피는
과정은 todot이 지향하는 건축의 구현에 있어 가장 소중히 지켜가는 가치입니다.
- 전문분야
- 설계
- 대표자
- 조병규, 모승민
- 설립
- 2014년
- 주소
- 경기 양평군 양서면 북한강로 25-1 (양수리) 3층. 301호
- 연락처
- 02-6959-1076
- 이메일
- todot@todot.kr
- 홈페이지
- http://todot.kr
위례 리메드 사옥 ‘산해'
리메드는 ‘난치성 뇌 질환 치료’와 ‘비침습적 시술’을 주제로 하여 전자약 분야의 의료기기를 생산 공급하는 업체이다. 한마디로 브레인 치료를 목표로 브레인들이 모인 회사라 할 수 있다. 이를 비추어 보면, 여기저기 흩어져 있던 리메드의 자회사들을 함께 모아 위례에 사옥을 구축하겠다는 요청을 받고 가장 먼저 떠 오른 단어가 ‘브레인(뇌)’인 것은 어떻게 보면 당연한 연상일 것이다.
사옥이 자리한 대상지는 지구단위계획구역으로, 규모가 5층으로 제한된 곳이다. 이 때문에 리메드 의장의 첫 번째 요구조건인 ‘몸집이 커 보이는 사옥’은 난제가 되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우리는 지구단위에서 허용한 4.5m의 층고를 전 층에 적용하고, 환기와 채광을 위한 최소의 창만을 남겨 층 당 2열로 배치하였다. 건물이 블랙박스처럼 비밀스러운 모습이었으면 좋겠다는 건축주의 요청에 따라 층의 구분을 모호하게 하기 위함이다. 그렇게 외부 패턴 안에 10열의 창이 배열되었고, 간격을 두고 배치된 작은 창에 높은 층고의 효과가 더해지니 5층이 아닌 10층의 규모의 건물처럼 보이게 되었다.
건물의 전, 후면에는 규칙적이고 날카로운 주름을 만들었다. 이 주름은 뇌 주름의 은유적 표현이며, 단순한 매스에 생기를 불어넣는 장치이다. ‘주름’이라 하기 위해서는 면이 끊어짐 없이 이어져야 했고, 이를 위해 마감재로 다소 낯설고 모험적인 방식인 스토벤텍 시스템을 선택했다. 늦은 오후부터 일몰까지 서향의 큰 도로에 면한 주름에 빛과 그림자의 움직임이 더해져 풍부한 표정을 만들어내니 결과적으로 탁월한 선택이었다고 생각한다.
최대한의 볼륨을 만들어내기 위해 사옥 중심에는 중정을 배치했다. 이 중정은 보행자도로 변으로 공공에 열려있어 자칫 배타적으로 보일 수 있는 건물의 인상을 상쇄하며, 동네에 그늘 있는 마당을 제공한다. 중정이 파고들어 드러난 속살은 외부의 백색 마감과 달리 질감 있는 벽돌로 마감했다. 이 대비는 중정이 건물보다는 도시에 속해 있음을 명확히 하고자 함이다. 이에 따라 중정과 1층 내부 공간은 다소 소극적인 관계를 갖게 되고, 적극적 관계는 오히려 상부층에서 드러난다. 천공광의 편안한 빛을 건물 내부로 들여 음영 대비 없는 편안한 업무 환경을 제공하며 사옥 본연의 목적을 충실히 한다.
우리는 단순하고 거대한 매스에 날씨와 시간의 변화를 담았고, 이를 통해 다채로운 표정으로 도시에 말을 거는 건축물이 되기를 기대했다. 산해를 만나는 사람들에게 묻고 싶다. 지금 그 시간에는 산해가 어떤 말을 건네고 있는지.
건축개요
위치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창곡동 |
---|---|
규모 | 지하2층, 지상 5층 |
건축면적 | 462.96 |
건폐율 | 59.33 |
구조 | 철근콘크리트 구조 |
최고높이 | |
시공 | (주)베델건설 |
용도 | 근린생활시설 |
---|---|
대지면적 | 780.30 |
연면적 | 3,083.74 |
용적률 | 279.50 |
주차대수 | 21대 |
사진 | 최진보 |
설계 | 투닷건축사사무소 |
자재정보
외부마감 | STO(기린건장), 벽돌타일 |
---|---|
창호재 | |
마루 | |
주방가구 | |
욕실기기 | |
현관문 | |
붙박이장 |
내부마감 | |
---|---|
지붕재 | |
실내가구 | |
욕실마감 | |
조명 | |
실내문 | |
데크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