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간이 주는 영향력에 대해 고민합니다.
단순히 심미적인 것 그 이상을 고민합니다.
二致, 서로 다른 둘이 만나,
理致, 이치에 맞는 것을 탐구하며,
ITCH, 좋은 공간에 대해 갈망합니다.
- 전문분야
- 설계
- 대표자
- 정진욱, 이유림
- 설립
- 2022년
- 주소
- 서울 중구 동호로11바길 30-3 (신당동)
- 연락처
- 010-5171-0361
- 이메일
- atelier-itch@naver.com
무위의 공간
끊임없이 일렁이는 마음의 물결을 잠잠하게 하는 요가의 공간
요가에 대한 가르침을 담는 파탄잘리(Patanjali)의 요가수트라(The Yoga Sutras)의 1장 2절의 구절이다. 눈을 감고 들숨과 날숨을 깊고 느리게 반복하는 요가는 내면의 움직임에 집중하는 간단하고 고요한 행위이다. 몸을 움직여 하는 동작 이면에는 우주와의 완연한 합일을 이루고자 하는 내면의 힘이 담겨있다. 호흡과 움직임 속에서 느껴지는 내면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것, 자기 자신에 대한 온전한 이해와 함께 진정한 자아를 만나는 것, 있는 그대로의 나의 존재를 깨닫는 것. 그것이 요가가 추구하는 본질이다.
△ 도로에서 바라본 무위의 공간
△ 입구
‘무위(無爲)’, 문자 그대로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는 의미이지만 그 안에는 ‘인위를 가하지 않음’이라는 ‘Sheer naturalism’의 뜻이 함께 존재한다. 이는 곧 자연스러운 흐름에 역행하는 행위를 멈추고 있는 그대로를 바라보는 것을 의미한다. 나를 감싸고 있는 껍데기를 걷어내고, 밖으로만 내달리는 마음을 안으로 돌려 고요히 나의 내면을 응시하는 것. 비워내고 덜어냄을 통해 무심(無心)의 상태에 이르는 것은 이곳 요가 마스터들이 추구하는 요가의 본질이자, 이곳을 찾는 사람들에게 선사하고 싶은 경험이었다. 그렇게 요가를 알지 못하는 사람들도 이 공간에서 느껴지는 차분한 숨결을 통해 쉼을 느끼길 바라는 마음으로 프로젝트가 계획되었다.
△ 입구에서 바라본 스테이 무, 위와 메인 정원
△ 메인 정원에서 바라본 입구와 스테이 자(좌), 스테이 무(우)
‘무위의 공간’은 요가쿨라의 요가 마스터 4인이 뜻을 모아 만든 요가와 명상, 치유의 스테이이다. 제주 한경면 저지리에 위치한 이 통나무집은 우리가 말하고자 하는 ‘무위’를 품기에 적절한 장소였다. 지어진 지 오래된 통나무집은 자유롭게 자라있는 식물들과 함께 제주의 고요하고 한적한 마을에 자연히 동화되어 있었다. 통나무의 정취를 살리고 제주다움을 더하되 인위적이지 않고 그저 그렇게 존재해왔을 것 같은 ‘무위(無爲)’의 공간. 이것을 실현하는 것이 설계의 핵심이었다.
△ 스테이 위 주방
△ 스테이 위 침실과 사적인 정원
△ 스테이 위 침실
△ 티 명상 존에서 바라본 스테이 위 침실
△ 스테이 위 티 명상 존
△ 스테이 무 침실
△ 스테이 무 침실 앞 사적인 정원
공간의 표피는 ‘무(無)’를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색을 선택해 감쌌다. 검은색은 자연의 색을 강조하고, 건물이 자신의 존재를 드러내지 않을 수 있게 하는 적절한 색이다. 해가 질수록 건물의 존재감은 사라지고, 이곳에 존재하는 ‘나’와 ‘제주의 자연’만이 오롯이 존재할 수 있도록 했다. ‘무위의 공간’은 무(無), 위(爲), 자(自), 연(然)의 4개의 객실로 구성되어 있다. 네 개의 방 모두 영역 구분을 위한 최소한의 벽을 제외한 나머지 벽은 기존의 때 묻은 칠을 벗겨내어 통나무 본연의 질감과 향을 보존하려 했다. 고요함을 테마로 한 2인 기준의 객실 무(無), 위(爲)는 ‘없을 무’, ‘다스릴 위’라는 객실의 이름에 맞게 외부와의 시선을 차단하고 오로지 나의 존재와 마주할 수 있는 프라이빗한 명상 정원을 열어두었다. 더불어, 테라스에 앉아 제주의 햇빛과 함께 요가를 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했다.
△ 스테이 자
△ 스테이 자 테라스에서 바라본 스테이 무,위
△ 스테이 자 테라스
△ 정원에서 바라본 스테이 자 티 명상 존
△ 스테이 자 주방에서 바라본 티 명상 존과 침실 2
△ 스테이 자 티 명상 존
△ 스테이 자 침실 1
△ 스테이 자 욕실 1
‘자(自)’ 객실은 스스로 존재하는 제주의 자연을 테마로 구성된 객실이다. 4인이 2개의 분리된 침실 공간에 머무르며 주방을 공유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한 침실은 제주 돌담과 통나무를 가까이 두었고, 한 침실은 제주의 돌담, 자연과 함께 야외 자쿠지를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계절에 상관없이 즐길 수 있는 내부 욕조를 통해 내부와 외부에서 모두 입욕을 즐길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 스테이 연으로 통하는 로즈마리 정원
△ 담너머 스테이 연 요가홀의 큰 창
△ 스테이 연 요가홀
△ 스테이 연 요가홀
△ 스테이 연 침실
△ 스테이 연 침실
다른 채들과는 완전히 독립된 ‘연(然)’은 제주의 동백나무와 로즈마리로 이루어진 통로를 지나면 모습을 드러낸다. 요가, 명상 등 다양한 수업과 프로그램이 함께 진행되는 객실이다. 제주 자연의 빛이 가장 잘 들어오는 객실로, 창문을 통해 한라산이 보이는 곳에 자리한다. 기존 박공형태의 높은 천장의 공간감은 살리면서 다락 공간을 만들어 명상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이곳에는 2개의 야외 공간을 두었다. 제주 돌담 및 식생들 사이에 냉탕과 온탕 자쿠지를 두어 프라이빗한 명상 공간, 한라산과 제주 식생들을 바라볼 수 있는 야외에서 명상 공간을 만들었다.
△ 정원에서 바라본 스테이 연 침실
△ 자쿠지 바라본 스테이 연 침실과 요가홀
△ 스테이 자에서 바라본 스테이 무, 위
① 주차장 ② 스테이 무 ③ 스테이 위 ④ 스테이 자 ⑤ 스테이 연 ⑥ 메인 정원
① 테라스 ② 주방 ③ 침실 ④ 티 명상 존 ⑤ 욕실 ⑥ 사적인 정원
① 테라스 ② 주방 ③ 티 명상 존 ④ 침실 1 ⑤ 침실 2 ⑥ 욕실 1 ⑦ 욕실 2 ⑧ 사적인 정원
① 로즈마리 정원 ② 입구 ③ 요가홀 ④ 주방 ⑤ 욕실 1 ⑥ 욕실 2 ⑦ 침실 ⑧ 명상 테라스 ⑨ 자쿠지 정원
건축개요
위치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
---|---|
규모 | 네 개 동 |
건축면적 | |
건폐율 | |
구조 | |
최고높이 | |
시공 | Atelier ITCH |
용도 | 스테이 |
---|---|
대지면적 | 967 |
연면적 | |
용적률 | |
주차대수 | |
사진 | 홍기웅 |
설계 | Atelier ITCH |
자재정보
외부마감 | 스타코 |
---|---|
창호재 | 시스템 창호 |
마루 | 강마루, 타일 |
주방가구 | |
욕실기기 | |
현관문 | |
붙박이장 |
내부마감 | 통나무, 무늬목 필름, 타일 |
---|---|
지붕재 | |
실내가구 | |
욕실마감 | |
조명 | |
실내문 | |
데크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