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대한 일상성, 일상의 위대함
우리는 도시, 건축, 인테리어, 그래픽 등 다양한 스케일과 분야의 관점을 공간에 비추어 바라보고
현실에서 실천하는 디자인 스튜디오입니다.
- 전문분야
- 설계
- 대표자
- 이주영
- 설립
- 2015년
- 주소
- 서울 종로구 세검정로9길 45 (신영동) 2층
- 연락처
- 02-395-1215
- 이메일
- basicwhite@hanmail.net
- 홈페이지
- http://www.g-o-a.kr
The Blue Books
Gangbi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책이 있는 놀이터
흔히 도서관이라고 하면 조용하고 가만히 앉아서 책에만 집중하는 딱딱한 분위기가 떠오를 수 있다. 그런 도서관은 책을 읽으러 갔다고 하더라도 잠이 솔솔 쏟아지기만 할 뿐, 지루하고 시시할 것이다. 특히 이제 막 책을 접하게 되는 어린이들에게는 도서관이란 재미없고 가기 싫은 곳 이라고 받아드릴 듯 싶다. 하지만 책은 우리를 다양한 곳을 여행시켜주고, 다양한 사람들과 만나게 해주고, 다양한 정보를 선사해주는 파란만장하고 흥미진진한 지식의 통로이다. 책은 지루한 것이 아니라 생동감이 넘치고 친근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도서관은 책이 있는 놀이터가 아닐까? 강빛초중이음학교의 도서관 인테리어 디자인은 이러한 아이디어에서 시작되었다.
나만의 다양한 도서관 사용법
강빛초중이음학교의 도서관은 다른 학교와 다르게 초등학생과 중학생이 함께 사용하게 되었다. 한 공간에서 초등학생의 도서 자리도 필요하고, 중학생의 도서 자리도 필요한 상황이었다. 초등학생들은 도서관에서 눕기도 하고 서로 책을 보며 이야기도 하고 다양한 토론을 할 수 있는 활동적인 도서관을 원했고, 중학생은 편하게 친구들과 공부하며 때로는 수업도 하는 비교적 정적인 도서관을 원했다. 같은 공간에서 양극단의 활동을 원하는 유저들의 니즈(Needs)를 충족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한 공간을 과감하게 두 개의 존(Zone)으로 나누기로 했다. 한쪽은중학생들이 공부하며 수업 듣기에 편하도록 책상과 의자를 주로 배치했고, 다른 한쪽에는 초등학생들이 놀면서이야기하며 책을 읽을 수 있도록 넓은 평상과 푹신한 벤치를 배치했다.
중간에는 공간을 나누기 위해 길고 낮은 책장을 배치했다. 서로 도서관에서 원하는 활동이 다르기 때문에Zone을 나누었지만 결국 이 도서관은 한 공간이기 때문에 메인 컬러를 지정하여 통일감 있게 마감하였다.
△ 안내데스크
△ 초등학생들이 놀면서 이야기하며 책을 읽을 수 있는 푹신한 벤치
△ 사이니지
△ 전체 공간구성
건축개요
위치 | 서울 강동구 강일동 |
---|---|
규모 | 1개 층 |
건축면적 | |
건폐율 | |
구조 | |
최고높이 | |
시공 |
용도 | 도서관 |
---|---|
대지면적 | |
연면적 | |
용적률 | |
주차대수 | |
사진 | tqtq studio |
설계 | 지오아키텍처 |
자재정보
외부마감 | |
---|---|
창호재 | |
마루 | |
주방가구 | |
욕실기기 | |
현관문 | |
붙박이장 |
내부마감 | 데코타일 |
---|---|
지붕재 | |
실내가구 | 제작가구 |
욕실마감 | |
조명 | |
실내문 | 유리문 |
데크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