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문분야
- 설계
- 대표자
- 최민욱, 조세연, 이복기
- 설립
- 2019년
- 주소
- 서울 성동구 고산자로6가길 6 (행당동, 대진빌딩) 2층
- 연락처
- 02-6409-6625
- 이메일
- info@no-mal.com
과학자의 집
좋은 집이란 무엇일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은 건축주와 함께 설계과정을 통해 만들어진다. 어디에, 누가, 어떻게 사용하는 집인가에 따라 답은 항상 다르기 때문이다.
‘과학자의 집’은 삼대가 한 집에서 따로, 또 같이를 추구한다. 가족 구성원은 건축주 부부와 자녀, 부모님으로 아버님은 과거 과학을 가르친 선생님이고, 건축주 부부는 기초과학을 연구하는 학자이다. ‘과학자의 집’에서 ‘좋은 집’을 건축주와 같이 연구하고 토론을 하며 만들어졌다.
해당 대지는 개성을 여과 없이 드러내고 있는 주택이 모인 단지 내 중앙에 위치한다. 단지 내 건축적 접근으로 ‘단지 정중앙 대지로서 묵직한 무게감 있는 단단한 덩어리’가 필요했다. 또한 둘러싸인 2면의 도로는 측면에 경사진 보행도로와 고저차가 있는 전면도로로, 지하로만 출입할 수 있어 지하공간 활용이 중요했다. 3세대로 구성된 가족구성원의 특징과 생활을 잘 담아내는 것, 건폐율이 낮은 대지 상황을 고려하여 층을 높이기보다는 지하공간을 잘 구성하고 연계 가능하도록 해당 대지만의 자연정원 레벨을 구성해주는 것이 주요한 과제였다.
무엇보다 3세대가 함께 살기 위해 생활의 교류와 사생활의 구분을 어떠한 방식으로 구분할지 고민이 필요했다. 그 결과 지상2층은 젊은 건축주 부부와 자녀(2, 3세대)가 지상1층에는 부모님(1세대)이 함께 살아가는 형태가 되었다. 층으로 확실히 구분된 두 세대는 지하의 진입공간이자 공용공간을 거점으로 교류하고, 같은 위치에 있는 각각의 거실에서 같은 마당을 보며 소통한다. 두 층은 쉽게 교류할 수 있지만, 층과 문을 통해 필요시 확실한 구분이 가능하다.
△ 동선 다이어그램
△ 마당에서 바라본 집의 모습
△ 지하공간에서 마당으로 바로 연결되는 외부계단
△ 지하의 진입공간
△ 조경과 함께 선큰을 계획한 지하공간
지하는 모두가 이용하는 진입공간이자 삼대의 취미를 교류하는 공용공간이다. 사용하는 이에 따라 용도가 변화하는 지하공간은 부부의 재택근무 공간이자 자녀의 놀이방이 되고, 당구, 피아노 등의 취미를 함께 할 수 있는 공간이다. 지하공간이지만 선큰을 조경과 함께 계획하여 낮과 밤, 사계절을 느끼며 쾌적한 공간이 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 현관에서 바라본 1층으로 올라가는 내부계단
△ 지하 공용공간
△ 계단실
△ 1층 주방과 거실
1층은 부모님이 쓰기 편한 구성의 주방과 거실, 자연정원이 연결되어 평면적인 개방감을 주고, 2층은 박공지붕을 활용한 높은 천장과 아이를 위한 다락방으로 구성된 방이 단면적인 재미를 준다.
층마다 각각의 현관, 거실과 주방이 있고, 각 세대에서 필요로 하는 방과 가구로 맞춤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외국 생활에 익숙한 젊은 부부는 건식화장실을, 한국 생활에 익숙한 부모님은 습식화장실을 사용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 1층 주방과 거실에서 바라본 마당
△ 부모님 방
△ 2층은 박공지붕을 활용한 높은 천장을 가진다.
△ 2층 거실에서 바라본 마당
△ 집에 재미를 더한 박공지붕
△ 외국생활에 익숙한 부부를 위한 건식화장실
△ 아이를 위한 다락이 구성된 방
△ 입면 디자인 요소로 풀어낸 처마
‘과학자의 집’은 쾌적한 공간의 연구로서 패시브 설계에 준하게 진행되었다. 외벽은 석재마감을 기준으로 하여 충분한 단열과 기밀을 고려하여 설계에 반영되었고, 그 안에 구조, 기계, 전기, 유지관리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된 기술이 접목되었다. 패시브 설계상 자칫 미적 요소와 정서적 요소를 놓치기 쉬운데, 단열과 기밀에 우수한 창호와 EVB(외부 전동블라인드)를 적용하면서도 미관에 아쉬움 없도록 이 집만의 건축 디테일을 풀어 접목했으며, 차양을 위한 처마를 적용하면서 입면 디자인 요소로도 활용했다.
외장재 설치 시 열교에 취약할 수 있는 부분은 열교를 방지할 수 있는 신기술을 접목하고, 여러 차례 시뮬레이션을 통해 취약점을 찾아 추가 보강을 하였다. 외부와 연결되는 창호 주변과 배관 구멍 등은 밀실하게 특수 기밀처리를 하고 실제 기밀테스트를 실시하여 그 성능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열회수교환장치를 건물 전체에 구성하여 기계식환기와 자연환기가 모두 가능하게 고려했다.
△ 패시브 설계 다이어그램
△ 마당에서 바라본 1, 2층 공용공간
△ 지하 선큰공간
전기통신설비 또한 다양한 스마트 기능이 가능하게 설계가 되어 있으며, 특히 해당 내용은 건축주의 깊은 관심을 실현할 수 있도록 반영되었다. 조명은 디밍과 색온도 변화에 자유롭고, 집안의 온도와 환기 등은 어디에서든 스마트 컨트롤이 가능하다.
△ 지하 진입공간 부분
△ 도로에서 바라본 집의 모습
△ 같은 위치에 있는 각각의 거실에서 같은 마당을 보며 소통하는 3세대
일련의 과정은 어떻게 보면 당연한 것이지만, 여러 가지 이유로 잘 지켜지지 않는 부분이다. ‘과학자의 집’은 착실하게 시간이 걸리더라도 설계에 반영하고 시공하였다. 시공과정에서도 여러 테스트를 실시하여 검증하고 시공에 부족한 점은 고쳐 적용했다. 이러한 과정이 있을 수 있었던 것은 학자로서 건축주 부부의 건축에 대한 높은 관심과 이해도를 바탕으로 건축가와 지속해서 얘기를 나눴기 때문이다.
‘과학자의 집’은 건축주와 건축가, 시공자가 합을 맞추고 균형을 찾는 과정이 생산적으로 지속된 주택이다. 자칫 건축가의 영역과 건축주의 영역이 서로 넘어섬에 대한 우려도 있었지만, 주택은 건축주와 그 가족구성원이 오랫동안 생활할 공간으로 그 사이 균형을 찾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균형의 과정은 건축주의 요구와 건축가의 해법이 아닌 ’치수’와 ‘수치’를 오가는 서로의 관심 속에서 그 접점을 찾았다.
건축개요
위치 | 경기도 고양시 일상동구 |
---|---|
규모 | 지하1층, 지상2층 |
건축면적 | 97.20㎡ |
건폐율 | 24.83% |
구조 | 철근콘크리트 구조 |
최고높이 | |
시공 | 지음씨엠 |
용도 | 단독주택 |
---|---|
대지면적 | 391.4㎡ |
연면적 | 318.29㎡ |
용적률 | 49.52% |
주차대수 | 3대 |
사진 | 노경 |
설계 | 노말건축사사무소 |
자재정보
외부마감 | 사비석, 47T 유리 |
---|---|
창호재 | |
마루 | 바닥 ? 퀵스텝, 원목마루, 타일 |
주방가구 | |
욕실기기 | |
현관문 | |
붙박이장 |
내부마감 | 벽체, 천장 ? 지정페인트, 무늬목 |
---|---|
지붕재 | |
실내가구 | |
욕실마감 | |
조명 | |
실내문 | |
데크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