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주와 건축의 전과정을 동반자의 마음으로, 농사짓는 농부의 마음으로 보듬고 살피는
과정은 todot이 지향하는 건축의 구현에 있어 가장 소중히 지켜가는 가치입니다.
- 전문분야
- 설계
- 대표자
- 조병규, 모승민
- 설립
- 2014년
- 주소
- 경기 양평군 양서면 북한강로 25-1 (양수리) 3층. 301호
- 연락처
- 02-6959-1076
- 이메일
- todot@todot.kr
- 홈페이지
- http://todot.kr
망미농장
양평 근린생활시설
경기도 양평군 지평면 망미리. 대지는 삼각산과 배미산 그리고 매봉산이 만나는 골짜기에 자리한다. 깊은 산중에 있는 대지는 인적이 드물어 고요하고 평화로운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다. 은퇴 이후 이곳에서 과실나무를 재배하며 여생을 보내고 있는 건축주 부부가 근린생활시설과 온실, 캠핑장을 의뢰했다. 계획에 앞서 이 곳에 앉혀질 건축물은 어떤 모습이여야 하는가를 고민했다.
이 땅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녹음이다. 긴 시간 뿌리를 내리고 자라온 녹음과 나무는 무엇보다도 오랜 시간 이 장소의 기억을 간직해왔다. 자작나무는 강원도 이북의 높은 산을 비롯하여 러시아와 몽골 등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되어있고 추운 지방에서 잘 자라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경우 경기도·강원도 지역의 산지에서 군락을 이루고 있다. 자작나무의 수형은 얇고 길게 20미터에 달하는 높이로 자라며, 수피는 은회색을 띤다.
이 땅에 앉혀질 건축물의 모습이 자작나무를 닮았으면 했다. 푸르른 녹음들 사이에서 은회색의 존재감을 갖되 아주 큰 덩어리 보다는 작은 단위의 군락을 이루어 주변의 녹음과 조화를 이루었으면 싶었다. 군락을 이룬 건축물이 주변의 녹음과 자연스럽게 어우러지고 긴 시간을 공유했으면 하는 바람이었다.
나무를 닮은 형태: 벽과 지붕을 합친 이등변삼각형
건축물이 ‘나무를 닮는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나무는 그 수종에서부터 다양한 종류와 형태, 특징을 지니고 있다. 그럼에도 많은 사람들이 떠올리는 가장 보편적이고 원초적인 나무의 형태는 삼각형을 이루는 기하학적 형태일 것이다. 이는 가장 완결적이면서 동시에 단순한 형태이다. 이 완결적인 형태의 이등변 삼각형은 놓이는 각도에 따라서 벽과 지붕이 결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흔히 경량목구조의 구조재로 사용되는 SPF 구조목의 사이즈는 대략 6.1m이다. 60°로 기울어진 각도에 6.1m의 구조목을 설치하면, 목재의 손실 없이 대략 1~2층으로 사용 가능한 층고를 확보할 수 있다. 벽과 지붕의 경계가 모호한 이 이등변삼각형 형태는 목구조 공사의 공정을 최소화 한다. 규격화된 스터드는 지상에서 조립한 후 간격에 맞추어 배열만 시키면 되는 단순한 메커니즘으로 효율적인 시공이 가능하다. 또한 가파른 경사지붕은 기능적으로 방수에 최적화된 형태다.
△ 양측 내부 공간 사이에 자리한 안마당
△ 출입구
따뜻한 질감의 나무 마감재
목재 마감재가 주는 첫 느낌은 따뜻함이다. 수종에 따라 질감의 차이는 존재하지만 대체적으로 나무는 우리에게 따뜻한 질감을 느끼게 한다. 내·외벽과 지붕 구조, 바닥 및 계단에 사용된 나무는 이용자가 직접적으로 나무를 느낄 수 있는 요소로 자작나무, 가문비나무, 소나무, 삼나무, 참나무 총 5개의 수종을 마감 및 구조재로 사용했다.
구조목으로 사용한 전나무, 가문비나무는 강도가 높아 단단하면서 가벼워 작업이 쉽다. 비교적 명도가 높은 황갈색을 띄며, 무늬가 수려하다. 경량목구조의 규격화된 스터드는 대략 400mm의 간격을 두고 설치한다. 촘촘하게 설치된 구조목 스터드는 이 부재가 단순히 구조재에 그치지 않고 루버나 간살의 형태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온실에서 바라본 출입구
△ 온실에서 안마당 쪽을 바라본 모습
△ 온실 너머 소매점과 화장실, 계단 위 다락책방
△ 다락책방
내벽에 사용된 미송합판은 밝은 미색을 띤다. 옹이가 있는 유절을 사용하여 구조목과 질감 및 색감이 조화를 이루도록 계획했다. 외벽에 사용한 주재료는 자작나무의 수피와의 유사성을 의도했다. 수형이 곧은 자작나무 군락을 패턴화 하여, 강한 수직성을 갖는 은회색의 스틸재료를 사용하였다. 벽에 사용한 또 다른 재료인 삼나무는 붉은색이 섞인 황갈색을 띤다. 습기에 강하고 함수율이 낮아 외부에 사용할 수 있다. 목재의 내구성을 위해 규화제를 도포하여, 추후에는 은회색으로 변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바닥 및 계단에 사용한 참나무는 결이 섬세하고 선명하다. 가구로도 많이 사용되는 인기 있는 수종이며, 시간이 지날수록 채도가 낮아지며 차분한 톤으로 변한다. 마감 및 구조재로 사용한 나무, 그리고 커튼월을 통해 유입되는 풍부한 자연광은 공간이 주는 깊이감을 극대화 한다. 이처럼 망미농장은 흔히 도시에서 느끼는 차가운 질감과 빽빽한 밀도에서 벗어나 온전히 나무의 따뜻함과 여유를 느끼며 자연과 소통하는 공간이 되길 바랐다.
△ 안마당
△ 탕비실과 사무 공간
△ 사무 공간 위 다락
△ 사무 공간 위 다락
얼기설기 배치된 나무와 숲
건축물의 배치는 경사진 대지에 각각의 덩어리를 어떻게 앉힐지 고민한 결과다. 경사를 따라 낮은 곳에서 서서히 올라가며 진입하는 과정이 시시각각 변화하는 장면의 연속으로 이어지게끔 의도했다. 대지 전면부에 드러난 형태는 초입에서 위로 올려다보았을 때 자연에 순응하여 조화로우면서도 강한 인상을 주도록 했다. 주변의 녹음과 어우러진 건물은 자작나무의 수피처럼 은회색의 존재감을 드러낸다. 중턱에 다다르면 전면의 건물과 지형에 가려졌던 자작나무, 오두막들이 서서히 드러난다. 작은 규모로 얼기설기 군락을 이루며 배치된 나무와 오두막은 주변의 녹음과 자연스럽게 관계를 맺게 될 것이다.
△ 경사진 도로를 따라 올라가며 마주하는 다채로운 장면
△ 시시각각 달리 보이는 건물의 모습
△ 메인 건물 뒤로 드러나는 작은 오두막들
이터골과 망미농장
이터골이라는 골짜기에 위치한 망미농장은 주변의 산세와 어우러져 자작나무 군락과 같이 자리한다. 산이 가지고 있는 선을 최대한 지켜 자연스럽게 내려앉은 모습은 자연과 공존을 택한 건축물의 자세이다. 이용객들은 내부의 목구조프레임과 커튼월구조를 통해 이 건축물의 경계가 내부에 그치지 않고 외부와 호흡하고 있음을 알게 된다. 주변 환경과 공존을 택한 망미농장이 이 땅에서 자연스럽게 늙어가길 바란다.
① 온실 ② 소매점 ③ 안마당 ④ 현관 ⑤ 창고
⑥ 화장실 ⑦ 대표실 ⑧ 탕비실 ⑨ 사무실
① 다락책방 ② 다락
건축개요
위치 | 경기도 양평군 지평면 망미리 829외 1필지 |
---|---|
규모 | 지상 1층 |
건축면적 | 137.91㎡ |
건폐율 | 19.76% |
구조 | 경량목구조 |
최고높이 | |
시공 | KSPNC |
용도 | 근린생활시설, 온실 |
---|---|
대지면적 | 698.00㎡ |
연면적 | 137.91㎡ |
용적률 | 19.76% |
주차대수 | 5대 |
사진 | 최진보 |
설계 | 투닷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
자재정보
외부마감 | 타일 마감 |
---|---|
창호재 | 3중유리 알루미늄 시스템 창호 |
마루 | 강마루 |
주방가구 | |
욕실기기 | |
현관문 | |
붙박이장 |
내부마감 | 타일 |
---|---|
지붕재 | |
실내가구 | |
욕실마감 | |
조명 | |
실내문 | |
데크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