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새로운 댓글알림이 없습니다.
닫기

알림

닫기
로그인

로그인 상태 유지

건축가 로그인

회원가입 ID/PW찾기

* 시스템 리뉴얼로 인해 일반회원 가입 및 로그인은 및 한동안 불가합니다. 이에 양해의말씀드립니다.

아이디 / 비밀번호찾기

  • 가입 시 등록한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시면 임시 비밀번호가 전송됩니다.
  • 이메일 주소가 생각나지 않을 경우 1:1문의하기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아이디 찾기 비밀번호 찾기

회원가입

건축가 회원가입


일반회원 (리뉴얼 중)


회원가입을 하면 에이플래폼의 서비스 약관개인정보보호방침에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일반회원가입

중복확인

중복확인

회원가입을 하면 에이플래폼의 서비스 약관개인정보보호방침에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일반회원가입 (선택사항)

성별
남자 여자
생년월일
주소
직업

건너뛰기 >

축하합니다!
에이플래폼 가입이 완료되었습니다.

사용하실 닉네임을 입력하고
플래폼을 시작해 보세요~
닉네임을 입력해야지 최종가입됩니다.

환영합니다!

기업회원가입 (회사유형선택)

건축회사

자재회사

건축회사가입 (1/3)

증복확인

증복확인

회사명
주소
사업자구분
사업자번호

회원가입을 하면 에이플래폼의 서비스 약관개인정보보호방침에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건축회사가입 (2/3)

대표자명
대표전화
서비스분야

건축분야선택

주거
상업
문교사회
공업

최대 10개까지만 등록가능합니다.

미니카드생성 (3/3)

미니카드에 적용할 이미지를
선택하세요.

로고이미지
(168 x 168px 이상의 jpg, gif, png로 등록해 주세요.)
미니카드이미지
(291 x 164px 이상의 jpg, gif, png로 등록해 주세요.)

홈페이지 유형선택

건축가의 경쟁력 강화와 원활한 경영활동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3개월 단위 계약

  • Premium

    건축 홈페이지부터 홍보, 브랜딩 데이터분석, 콘텐츠 관리, 기사발행 등
    맞춤 경영지원을 제공하는 플랜

    299,000
    / 월

    신청하기
  • Business

    건축 홈페이지가 필요한
    건축가를 위해 준비한 플랜

    59,000

    19,900 * 이벤트 할인
    / 월

    신청하기
  • Basic

    건축플랫폼에 등록되는 기본 형태

    무료

    신청하기
개인계정 생성
반응형 홈페이지
플랫폼 메인노출
개인 도메인 연결 ×
방문자 통계
홈페이지 디자인 ×
소셜링크 ×
에이플래폼 로고/배너 삭제 ×
이메일 문의기능 ×
전담 콘텐츠매니저 부여 × ×
기사발행 (Kakao, Naver)
사무소 데이터 분석 리포트 분기 발행 × ×
인턴십 매칭 (학교지원금無)
인턴십 매칭 (학교지원금有) ×
에이라운지 입주할인 20% 할인 10% 할인 ×
건축사진작가 할인연결
세무기장 무료/할인
실시간 건축문의 참여 무제한 선착순 선착순
건축중개 × ×

축하합니다!
관리자 승인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홈으로 이동

자재회사가입 (1/2)

증복확인

증복확인

회사명
주소
사업자구분
사업자번호

회원가입을 하면 에이플래폼의 서비스 약관개인정보보호방침에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미니카드생성 (2/2)

자재 검색페이지에 노출이
되기위해 미니카드를
생성해야 합니다.

카드생성을 완료하세요.

대표이미지
(216 x 162px 이상의 jpg, gif, png로 등록해 주세요.)

취급자재선택

내장재
외장재
단열재
목재
석재
벽돌
창호
냉난방/환기설비
설비
도장/방수
홈네트워크
기타

최대 10개까지만 등록가능합니다.

축하합니다!
자재회사 페이지가 생성되었습니다.

사용하실 닉네임을 입력하고
플래폼을 시작해 보세요~

카탈로그제품사진을 등록하고
회사소개서를 작성하여
회사를 널리 알려보세요.

지금하러가기

나중에 하기

[A_Magazine다시읽기] 조백수호통상조약(朝白修好通商條約)체결 116주년(1901.3.23.)
舊벨기에영사관(남서울 생활미술관) / 小屋(고다마)(1905)
도시설계가 Archur
2017.09.26


사당역 사거리에 갈 때마다 벨기에영사관 건물이 참 생뚱맞아 보였다. 1900년대 초반에 지어졌을 법한 건물이 있을 만한 자리가 아니었기 때문이다더군다나 그 건물이 외교 관계 기능(영사관)이라면 이곳에 있을 이유는 더더욱 없었다당시 건물은 마치 쇠락한 가문의 마지막 저택 같았다.


 

1901년 3월 23조선은 벨기에와 수호통상조약을 체결했다. 1897년 고종이 대한제국을 선포한 뒤 벨기에와 통상조약을 체결한 이유는 당시 벨기에가 중립국이었기 때문이다당시 고종이 국제사회에서 대한제국의 정체성으로 생각한 모델이 바로 벨기에와 같은 중립국이었다.


 

조백수호통상조약 체결 직후 벨기에영사관은 현 캐나다대사관 자리에 있었고 이후 1902년 10월 벨기에 총영사였던 레온 뱅카르Leon Vincart(위 사진)가 회현동2가 78번지 일대 땅을 매입했다현재 우리은행 본점 자리다(아래사진).


 

1903년 9월 착공된 영사관 건물은 1905년 준공됐다설계자는 고다마小屋시공자는 호쿠리쿠北陸 토목회사 그리고 공사 감독관은 니시지마西島였다러일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한 뒤 을사늑약 체결에 따라 고종이 꿈꾸었던 대한제국의 중립국화는 물거품이 됐다당연히 대한제국 내에서 벨기에의 역할도 크게 줄었다. 1919년 벨기에영사관은 충무로1가 18로 이전했다.


 

일제강점기와 해방 그리고 한국전쟁 직후까지 건물은 요코하마 생명보험회사 지점과 사택기생조합 중 하나였던 본권번일본 해군성 무관부관저해군군악대 소속 건물공군본부 청사로 쓰였다한국전쟁 동안 큰 피해를 입지도 않았다.


 

1970년에 상업은행(우리은행)이 이 건물을 불하받아 소유권을 취득했다원래 자리에서 현재 자리로 옮긴 시기는 1980년대로 건물이 있던 대지가 도심재개발구역 -현재는 '도시환경정비사업구역'으로 부른다에 편입된 이후다. 1977년 11월 22일 사적 제254호로 지정된 건물은 1981년 11월부터 1982년 8월까지 관악구로 이전·복원됐다(위 위성사진은 이전 복원 당시 사당역 일대).


 

이전된 자리에서도 벨기에영사관은 문화재였기 때문에 앙각 등을 통해 주변 건물의 형태와 스카이라인에 영향을 미쳤다이전복원 후 본 건물의 활용방안은 깊게 고려되지 않아 우리은행 사료관 정도로 쓰였다.


 

벨기에영사관이 1980년대 초반 서울 도심을 빠져나와 당시에는 한적했던 現 부지로 이전되면서 얻은 영광(?)도 있다그것은 100% 원형은 아니라 하더라도 현재까지 남아 있는 준공 당시의 모습을 간직한 유이한 대사관 건물이라는 지위다.


 

19C 우리나라에 지어진 대부분의 외교 관계 건물들과 마찬가지로 벨기에영사관도 르네상스 양식을 기본으로 한다하지만 다른 외교건물과 달리 발코니가 건물 전면이 아닌 동쪽과 북서쪽에 작게 설치돼 있다아무래도 건물이 지어졌던 대지가 외교가였던 정동이 아닌 회현동이었다는 점과 건물 전면(북측) 컨텍스트를 반영했기 때문인 듯하다.


 

벨기에영사관을 남서울 생활미술관으로 사용하기 전 리노베이션 작업을 했다(한인건축 설계)역사적 건축물을 문화 및 전시시설로 사용하는 건 뻔한 활용방안이지만 그 뻔한 과정에서 항상 문제가 되는 건 내부공간이 전시물을 돋보이게 하기 위해 하얗게 된다는 것이다벨기에영사관도 예외 없이 하얗게 됐다.


 

이 과정을 거치지 않기 위해서는 건물 자체가 전시물이 되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건물이 갖는 의미가 각별하고 그 안에 놓여져 있는 전시물들이 그 건물의 역사를 드러내 주어야 한다하지만 벨기에영사관은 2017년 기준 112년이 됐지만 '벨기에영사관'으로 사용된 기간은 14년 밖에 안 됐다.


 

벨기에영사관을 볼 때마다 오히려 지금 자리에서 느끼는 생뚱맞음의 탈맥락이 이 건물이 주는 매력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든다현대예술이 추구했던 '낯설게 하기중 '고립'이라는 방식과 유사하다의도하지는 않았지만 결과적으로 벨기에영사관은 원래 자리가 아닌 엉뚱한(?) 자리에 있으니 '고립'이라는 방식을 지금보다 더 강하게 만드는 건 어떨까?


 

건물 출입구 안쪽 방에 마련된 카페에서 밖을 바라보면 왠지 건물이 원래 있던 자리가 아니라는 생각에 그 장면이 영구적이지 않고 계속 바뀔 것 같다마치 창문이라는 틀 안의 장면이 영화처럼 바뀌던지 아니면 건물이 다른 곳으로 이동하던지 할 것 같은 묘한 분리감그런데 그 묘한 분리감이 이 공간의 매력이란 생각도 들었다.


 

동시에 이런 분리감이 창이라는 틀을 통해 바깥을 보는 이 카페 공간이 아닌 발코니나 아니면 더 나아가 미술관 전면의 정원에서도 느껴질까라는 궁금해졌다잠시지만 정원에 서서 빠르게 사당고가교로 진입하는 차량을 볼 때 그런 느낌을 느낄 수 있었다.

 

※ 벨기에영사관에 대한 전체 글은 A_Magazine 1호에 실려 있습니다.

도시설계가 Archur

Archur가 해석하는 도시, 건축.
저서. <닮은 도시 다른 공간>

건축이야기꾼의 다른 글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