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극화되어가는 건축설계시장
건축사무소 규모별 실적과 종사자
◇ 건축사간 빈익빈 부익부 심각
요즘 건축설계업계에선... (중략) ...50여 개 대형 설계사무소에 몸담은 건축사 1000여 명을 뺀 1만명 가량은 생계를 걱정해야 할 수준이다. 건축사무소 가운데 연간 매출이 5000억원을 넘는 곳도 나올 정도로 영업이 잘된다. 연매출 규모가 1000억원을 넘는 설계사무소도 서너 군데에 이르는 것으로 전해졌다.
반면 영세 건축사 1만명 가운데 제2 직업으로 컴퓨터학원에서 설계프로그램 활용법을 강의하는 젊은 건축사도 적지 않다. 심지어는 오랫동안 설계사무실을 운영하던 중견 건축사도 사무공간 일부를 줄여서 당구장으로 만들어 돈벌이를 하기도 하는 것으로 전해져 충격적이다.
매일경제 (2007.02.01)
◇ 건축사 60% 1년에 고작 1건 설계
중소 건축설계업계의 경영난도 심각한 상황이다. 지난해 상반기 서울지역 건축사 1인당 설계허가 건수는 1건에도 미치지 못하는 등 시장이 크게 침체돼 있다. 국내에서 개업한 1만여 명의 건축사 가운데 60% 정도는 1년에 고작 한 건 정도를 설계하는 데 그치고 있는 것으로 업계는 분석하고 있다.
4일 대한건축사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 국내 건축설계 허가 건수는 2만9631건으로, 건축사 1인당 2.49건의 설계 허가를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건축사협회 관계자는 "수임 건축사 하나도 없는 건축사들도 부지기수"라며, "2011년 분석자료에 따르면 연면적 2000m² 이하 소규모 건축물의 경우 서울 건축사의 약 70%가 수임건수 '제로(0)'였다고 설명했다. 업계는 상위 10%의 건축사사무소가 70% 이상의 설계 업무를 수임하고 있는 것도 중소업체의 경영난을 가중하고 있다고 우려한다.
한국경제 (2013.01.04)
우선 세움터에서 발표한 대한민국 전체 건축사사무소와 등록 건축사 수를 살펴보자.
건축사사무소 9,787개
등록건축사 10,590명
전체 9,787개의 건축사사무소 중 수도권에 위치하는 비율은 53%가 넘으며, 수도권 쏠림현상이 건축계에도 예외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단, 이번 포스팅은 '사무소 규모와 매출의 상관관계'를 밝혀보고자 한 것으로, 지역별 사무소 비중은 추후에 자세히 포스팅하려 한다.
그렇다면 사무실 규모와 매출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
2011년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전체 건축사무소 수의 '73%'인 직원 수 4인 이하의 소규모 사무실 5,918개의 1년 매출이 설계산업 전체 매출의 '18%'를 차지하는 데 그친다.
물론 대형 건축사무소는 상대적으로 작은 사무소보다 매출이 더 많을 수밖에 없다. 하지만 문제는 건축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소규모 사무실의 실적이 갈수록 악화일로에 직면해 있다는 것인데...
하지만 2007년 미국발 부동산버블 이후 한국경제도 직격탄을 맞으면서 1년동안 수주실적이 단 1건도 없는 사무소의 비율이 2009년에 무려 25%까지 급격히 치솟는다. 반면 중대형급 사무소의 수주실적은 세계금융위기와는 상관없이 꾸준한 모습을 보이는데, 이는 상대적으로 경기에 민감할 수밖에 없는 소규모 사무소의 경영활동이 어려워짐에 따라 건축사무소 규모별 양극화 현상이 점차 심화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에이플래폼
Architecture Platform
www.a-platform.co.kr
* 기준이 될 자료가 부재하여 여러 곳의 데이터를 취합하였고, 이로 인해 데이터 별로 표시년도에 차이가 남. 하지만 그 차이가 크지 않고 이슈를 전달하는데 문제가 없어 이를 그대로 사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