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새로운 댓글알림이 없습니다.
닫기

알림

닫기
로그인

로그인 상태 유지

건축가 로그인

회원가입 ID/PW찾기

* 시스템 리뉴얼로 인해 일반회원 가입 및 로그인은 및 한동안 불가합니다. 이에 양해의말씀드립니다.

아이디 / 비밀번호찾기

  • 가입 시 등록한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시면 임시 비밀번호가 전송됩니다.
  • 이메일 주소가 생각나지 않을 경우 1:1문의하기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아이디 찾기 비밀번호 찾기

회원가입

건축가 회원가입


일반회원 (리뉴얼 중)


회원가입을 하면 에이플래폼의 서비스 약관개인정보보호방침에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일반회원가입

중복확인

중복확인

회원가입을 하면 에이플래폼의 서비스 약관개인정보보호방침에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일반회원가입 (선택사항)

성별
남자 여자
생년월일
주소
직업

건너뛰기 >

축하합니다!
에이플래폼 가입이 완료되었습니다.

사용하실 닉네임을 입력하고
플래폼을 시작해 보세요~
닉네임을 입력해야지 최종가입됩니다.

환영합니다!

기업회원가입 (회사유형선택)

건축회사

자재회사

건축회사가입 (1/3)

증복확인

증복확인

회사명
주소
사업자구분
사업자번호

회원가입을 하면 에이플래폼의 서비스 약관개인정보보호방침에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건축회사가입 (2/3)

대표자명
대표전화
서비스분야

건축분야선택

주거
상업
문교사회
공업

최대 10개까지만 등록가능합니다.

미니카드생성 (3/3)

미니카드에 적용할 이미지를
선택하세요.

로고이미지
(168 x 168px 이상의 jpg, gif, png로 등록해 주세요.)
미니카드이미지
(291 x 164px 이상의 jpg, gif, png로 등록해 주세요.)

홈페이지 유형선택

건축가의 경쟁력 강화와 원활한 경영활동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3개월 단위 계약

  • Premium

    건축 홈페이지부터 홍보, 브랜딩 데이터분석, 콘텐츠 관리, 기사발행 등
    맞춤 경영지원을 제공하는 플랜

    299,000
    / 월

    신청하기
  • Business

    건축 홈페이지가 필요한
    건축가를 위해 준비한 플랜

    59,000

    19,900 * 이벤트 할인
    / 월

    신청하기
  • Basic

    건축플랫폼에 등록되는 기본 형태

    무료

    신청하기
개인계정 생성
반응형 홈페이지
플랫폼 메인노출
개인 도메인 연결 ×
방문자 통계
홈페이지 디자인 ×
소셜링크 ×
에이플래폼 로고/배너 삭제 ×
이메일 문의기능 ×
전담 콘텐츠매니저 부여 × ×
기사발행 (Kakao, Naver)
사무소 데이터 분석 리포트 분기 발행 × ×
인턴십 매칭 (학교지원금無)
인턴십 매칭 (학교지원금有) ×
에이라운지 입주할인 20% 할인 10% 할인 ×
건축사진작가 할인연결
세무기장 무료/할인
실시간 건축문의 참여 무제한 선착순 선착순
건축중개 × ×

축하합니다!
관리자 승인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홈으로 이동

자재회사가입 (1/2)

증복확인

증복확인

회사명
주소
사업자구분
사업자번호

회원가입을 하면 에이플래폼의 서비스 약관개인정보보호방침에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미니카드생성 (2/2)

자재 검색페이지에 노출이
되기위해 미니카드를
생성해야 합니다.

카드생성을 완료하세요.

대표이미지
(216 x 162px 이상의 jpg, gif, png로 등록해 주세요.)

취급자재선택

내장재
외장재
단열재
목재
석재
벽돌
창호
냉난방/환기설비
설비
도장/방수
홈네트워크
기타

최대 10개까지만 등록가능합니다.

축하합니다!
자재회사 페이지가 생성되었습니다.

사용하실 닉네임을 입력하고
플래폼을 시작해 보세요~

카탈로그제품사진을 등록하고
회사소개서를 작성하여
회사를 널리 알려보세요.

지금하러가기

나중에 하기

나눔의 계절, 단절의 공간
현창용의 공간, 공감
공주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건축가 현창용
2021.09.01

※ 이 글은 이데일리에 기재된 글입니다.



우리나라의 3대 명절인 추석은 선선한 가을바람이 불어올 즈음, 무르익은 오곡의 결실과 함께 찾아온다. 무엇보다도 추석 특유의 ‘나눔’이란 분위기는 다른 명절들에 비해 더욱더 푸근하고 정겨운 분위기를 자아낸다.


실제로 설날은 ‘낯설다’의 어근인 ‘설’을 따 이름을 지었다는 점에서 알 수 있듯이 낯설게 다가오는 새해에 대한 복을 함께 비는 명절이다. 단오 또한 풍년을 비는 단오제와 단오굿을 가장 중요한 행사로 치르는 날이다. 새해의 복을 기원하고 모내기 후 풍작을 비는 날이 명절이 된 것은 예측 불가능한 불행에 대한 두려움을 함께 모여 이겨내고자 했던 ‘극복의 의식’이었다.


추석은 조금 다르다. 왕실보다 민간에서 가장 중요한 명절로 삼았다는 추석은 한해 농사의 결실을 서로 나누며 먹거리를 즐기고 그 흥을 다양한 민속놀이로 풀어내는 ‘축제의 의식’에 가까웠다. 추수를 끝낸 농부의 후련함, 한 해 거둔 농작물과 음식을 나누는 정, 농사는 잠시 잊고 모두 모여 즐기는 놀이로 채워졌던 멀지 않은 과거의 추석은 이 도심을 채웠던 건축과 공간을 눈을 감고 마음속으로 걸어 보게 된다.



여기저기 노랫소리와 웃음소리가 들려오는 골목을 걷는다. 활짝 열린 대문 틈, 마당 평상에서 먹을거리를 다듬는 이웃의 모습이 보이고 몇 발짝 더 걸으면 어깨높이의 담장 너머 낯익은 그 집 아이들의 놀이가 눈에 들어온다. 전통가옥의 담장은 시선은 허락하되 신체는 거리를 유지하게 하는 장치로 자리했다. 대문은 열려 있으니 편안한 시선이 허락된다. 마당과 맞닿아 있는 작은 대청에서는 송편 빚기가 한창이다. 이 집 떡은 빛깔만 봐도 짐작이 된다. 대청 옆문 살 너머에선 어르신들끼리 덕담을 나누는 모양이다. 덧발린 한지에 은은히 투과된 목소리가 따뜻한데, 비친 그림자까지만 보여주니 엿들어서는 안 될 것 같다. 두세 집 지나치면 골목들이 만나는 공터에는 씨름판이 벌어졌다. 왁자지껄한 소리에 마당에서 나물 다듬는 어머니도 귀만 쫑긋 세우면 누가 이겼는지 알 듯하다.


상상 속 마을, 옛집들 사이를 누비고 나면 우리 전통 건축의 성격이 짐작된다. 우리 옛 건축은 ‘나와 동네가 관계 맺는 방법’, 조금 차갑게 말하자면 ‘인간과 도시 사이의 커뮤니케이터’ 역할을 한다. 사람들이 서로 어우러질 수 있는 최소한의 건축적 장치들인 셈인데, 나눔의 명절에 참 어울리는 공간이다.


다시 눈을 뜨니 지금의 우리 도시가 보인다. 공간은 사라졌는데 의식은 남아있다. 조금 멀리 떨어져 사는 우리는 명절이 되면 부모님을 찾아뵙는다. 꽉 막힌 도로를 달려 아파트 단지에 들어서면 폭 6m의 구석진 길이 지하주차장으로 연결된다. 음습한 지하주차장에서 부모님 댁 동 번호를 찾아 헤매는 과정을 거쳐 유리문을 밀고 어둑어둑한 홀에 들어서자 머리 위로 약한 센서등이 켜진다. 엘리베이터 버튼을 찾아 누르고 나면 이젠 익숙해진 적막의 시간이 흐른다. 기계에 몸을 맡기고 잠시간 붕 뜬 기분을 느끼고 나면 부모님 댁 현관문 앞에 뱉어진다. 옆집에 분명 사람이 살고 있겠지만 지하주차장과 다를 바 없는 적막이 흐른다. 서둘러 초인종을 누르니 이제서야 반가운 부모님, 맛있는 명절 음식이 보인다. 다만 우리 가족만의 축제다. 명절 풍경은 항상 켜져 있는 TV가 전하고 아마 윗집도, 아랫집도, 그 아랫집과 또 그 아랫집도 비슷한 시간을 보내고 있을 것이다.


전통의 공간이 사라져 버린 것은 역사의 큰 아픔 중 하나다. 우리의 역사와 전통은 깊고 풍부한데 그 공간적 바탕인 건축과 도시는 질곡의 근대사를 겪으며 너무 빨리 바뀌어 버렸다. 추석이라는 어울림의 전통은 공간의 상실로 인해 고립된 의식으로 남았다. ‘나눔은 사라지고 의무만 남았다’고 말한다면 가혹한 것일까. 내밀해지고 단절되어버린 우리의 거주 형태는 더 이상은 나눔의 계절에 어울리지 않는다.


집이라는 거주공간의 역할은 의식주를 해결하는 것만이 전부가 아니다. 건축은 삶을 위한 기계이기도 하지만 행위를 담고 관계를 맺어주는 바탕이기 때문이다. 갈등도, 화목도 모두 공간에서 벌어지고 은폐하고 곪게 하느냐, 열어주고 소통하느냐 역시 공간의 영향을 받는다. 상상 속 옛 마을에서 찾을 수 있었던 어울림의 공간을 떠올려보면 다음 세대가 누려야 할 도시공간은 어떠해야 할지 명확해진다.

공주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건축가 현창용

공주대학교(조교수), 서울특별시(공공건축가)

건축이야기꾼의 다른 글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