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loaded/member/codaaxyz/l1_67d93e1655cf9bd417125a1a4f5c94620.jpg)
기능을 넘어서는 철학은 없다는 믿음으로, 사회와 시대의 요구를 수용하는 속에서 건축의 보편성과 독창성을 고민하는, 지속가능한 주거 / 건축 / 도시 /환경을 만들어 나가는 건축가들입니다.
- 전문분야
- 설계
- 대표자
- 정호건
- 설립
- 2015년
- 주소
- 서울 강동구 성내로6길 42 (성내동, 중앙빌딩) 201호
- 연락처
- 02-6956-3369
- 이메일
- abc@codaa.xyz
- 홈페이지
- http://codaa.xyz
[남양주 물 박물관] Fluid CYLNDER (제안)
다산수라는 남양주 지역의 물 브랜드를 홍보하기 위한 박물관입니다. 박물관이 입지한 곳은 다산수가 만들어지는 상수원의 가장 높은 자리입니다. 물은 흐르고 흘러 내려가지만, 그 시작점에서 물은 어떠한 모습일지, 유동하는 물이 관람하는 사람들과 어떻게 만날 수 있을지, 그러한 물을 담는 건축은 어떻게 보여 질 것인지 건축가로써 고민되는 지점 이였습니다. 물의 근원적인 형태를 고민하면서, 단순한 원통형(Cylinder)을 기본으로 하는 건물이 생성되었습니다. 하지만, 원통형 공간이 만들어내는 중심성 보다는 무한히 퍼져 나갈 수 있는 파동이 될 수 있기를 바랐습니다. 따라서 경계를 지음에 있어, 견고한 벽이 만들어 주는 닫힘과 반투명한 원형 기둥들이 만들어 주는 반쯤 열림을 혼합하였습니다. 내부 전시공간은 모으고 흐르면서 관람을 유도하지만, 밖으로 나오면 외부 공간은 자연을 향해 끝없이 확장됩니다. 건축은 사람에게 물이라는 물질의 성질을 경험케 하고 자연스럽게 물과 어울리고 섞이면서, 놀이의 공간으로써 박물관을 경험하게 됩니다.
구성계획
1단계_원형의 체험관을 구성하여 필로티위로 띄운다.
체험관에 중정을 두어 옥상에서 필로티까지 연결하는 수공간을 만든다.
2단계_필로티공간을 감싸는 대나무와 재생파이프 등으로 조성된 원형의 숲을 만든다.
파이프 숲의 흐릿한 경계로 들어오는 주변의 풍경과 하늘에서 낙하하는 물과 관람객이 만난다.
3단계_다산수 생산시설등과 체험관 1층부를 체험관 2층부와 중첩시켜 관람동선을 연결시킨다.
체험관 옥상에서 필로티공간과 대비되는 완전히 열린 원의 공간이 경험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