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별자의 삶의 플래폼인 건축 그리고 그 물리적 집합체이자 공동체의 플래폼인 도시에 대한 포괄적 관심을 바탕으로, 그 실무적 이행으로 규모, 용도, 지역, 조건에 구애받지 않는 다양한 건축/도시디자인 프로젝트, 연구개발계획, 전문교육 등의 활동을 폭넓게 수용한다.
경계를 한정하지 않는 H2L의 작업과 그 방식은 공간space이 한 사회의 발전을 이끄는 중요한 매체임을 이해하는 다양한 클라이언트, 관계전문가, 협업건축가, 건축학 수련자들과 공유될 것이며, 이는 개별 프로젝트의 주제 아래 함의된 보편의 사고를 건축적, 도시적 주제로 해석해 사회공간에 환원함이 건축가의 직능을 다하는 길이라는 믿음에 기반한다.
- 전문분야
- 설계
- 대표자
- 황정현
- 설립
- 2015년
- 주소
- 서울 중구 다산로10길 10-5 (신당동, 자강헌) 202호
- 연락처
- 02-464-1019
- 이메일
- h2l.hwangjh@gmail.com
#01. 가장 제주다운 땅, 대지를 만나다
풀빌라 독채팬션
제주도 서편, 개발 광풍이 빗겨간 조용한 해변가 마을.
오래된 돌집 하나 덩그러니 놓여 있던 이곳에 여행객을 위한 풀빌라 독채팬션을 계획합니다. 제주라는 지역적 특수성과 여행이라는 일상의 긍정적 파열음이 만나 비일상의 기억과 체험을 가능하게 하는 곳. 제주만의 풍습과 재료로 지어져 오랜 세월을 버텨온 이 돌집의 기억을 되살려, 신축되는 렌털하우스의 일부이자 여행객과 제주를 잇는 매개가 되기를 바랐다.
제주 신도리의 단독주택, 풀빌라 렌털하우스 프로젝트의 공사가 반환점을 돌았습니다. 대지를 만나고, 그곳에 건축을 그려내기까지의 이야기와 현장의 풍경을 소개합니다.
사실 클라이언트는 이 대지와 만나기 전까지 많은 다른 대지들을 돌아보았고, 그중 몇개의 대지는 H2L과 함께 계획까지 진행했던 곳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제주의 들뜬 부동산의 열기는 대지 확정까지 쉽게 길을 열어주지 않았습니다. 결정된 부지는 서귀포 대정읍의 작은 해변 가까이에 자리한 대지였습니다. 아직은 관광객들로 몸살을 앓지 않는, 제주의 촌락과 해변의 원형이 잘 보존된 듯 보였습니다.
▲ Project Site
대지는 제주 고유의 돌담으로 둘러싸인, 오래된 돌창고까지 안고 있는 특별한 곳이었습니다. 주민들의 밭으로 사용되고 있었고 답사 당시 (유채처럼 보이는) 브로콜리들이 잔뜩 꽃을 피워내고 있었습니다. 검은 제주의 돌과 노란 꽃들의 대비가 즐거웠습니다.
이 돌창고는 이곳의 산 증인이자, 좀 더 큰 의미로는 제주에서만 볼 수 있는 지역색 그 자체이기도 했습니다. 내부는 각종 창고 겸 우사로 쓰이던 흔적이 있었고, 대략 폭 4~5m 깊이 8~9m 정도로 짐작되는 작지 않은 규모의 건물.
"그 어느 때 보다, 조심스러운 설계를 해야겠다."
대지를 처음 만날 때 부터 느꼈던 '배경이 되는 건축'에 대한 생각은 이곳의 터줏대감을 만나면서 더욱 확고해 졌습니다.
▲ Site Condition
대지에 대한 건축가들의 첫 의견은,
바다를 바라보는 휴식, 그리고 제주다운 건축
어촌의 한가운데 위치한 부지는, 물리적으로 가까운 해변을 가지고 있음에도 시선이 닿지 않았습니다. 결국, 대지를 광역적으로 분석해 2층 이상의 높이에서 바다가 포착되는 방향을 설정해 내야 했습니다.
바다만큼, 사실 제주의 '땅'은 한국 어디에서도 볼 수 없는 성질의 독특함을 가지고 있습니다. 대지 답사에서도 알 수 있었듯, 제주만의 검디 검은 현무암과 이를 통해 만들어진 흙, 담장, 그리고 돌창고까지. 또 바람이 심한 제주에서 착생하는 다양한 짙푸른 식생들은 제주만의 대지 특성을 갖고 있음을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경험적으로는 공간경험의 끝에 바다가 포착되고, 건축적으로는 제주의 대지를 오롯이 느낄 수 있는 장치이자 배경이 되는 건축을 해 내야 하는 것이 건축가의 숙제로 남습니다.
▲ Composition Proposal
첫 건축적 스터디로서, 돌창고를 살려 재생한다는 전제 하에 돌창고-신축부-마당-수영장 간의 관계를 설정합니다.
돌창고와 신축부를 물리적으로 연계하고, 수영장을 바다와 가깝게 두며 안마당을 형성하는 안. 오히려 바다쪽을 신축부로 차폐해 중정을 만들고, 중정에 수영장을 더하는 안. 결국 돌창고와 새로운 건축 사이, 관계의 정의가 프로젝트의 시작이 되는 것이죠.
▲ Composition Alternative A
첫번째 접근은, 화덕을 품은 마당을 안마당으로 가지며 신축부를 숙박A, 돌창고를 숙박B로 설정합니다. 그 사이에 주방 겸 카페를 두고 투명한 볼륨으로 연계하며 앞공간을 둘러앉는 화덕으로 제안합니다.
불을 쓰는 공간은 언제나 전통적으로 공간의 중심을 갖게 됩니다. 이를 중심으로 숙박, 식사, 놀이의 공간이 둘러싸는 형식의 구성을 제안한 것이죠.
▲ Composition Alternative B
두번쨰 접근은, 가벽과 꺾인 신축부를 통해 사적인 중정을 만들고 수영장을 품게 하는 방법입니다. 가벽과 나무, 건축은 자연스러운 차폐의 요소로 사용되면서 폐쇄감이 들지 않게 조절됩니다.
첫번째 제안과 반대로, 숙박은 신축부를 통해 해결하고 돌창고는 중정과 면한 부분을 BBQ House로, 도로와 면한 부분을 Welcoming Cafe로 설정합니다.
돌창고가 전달하는 감성을, 숙박의 공간으로 부여할지 즐기는 공간으로 부여할지에 대한 생각들이 교차되며 다양한 의견들이 덧붙습니다. 긴 논의들을 거쳐, 절충된 결과물을 이어질 포스팅들을 통해 차차 소개해 나가겠습니다. 제주는 친숙하지만, 사실 한국 어디서도 찾아볼 수 없는 '대지의 감성'을 전달합니다. 에머럴드 빛 푸른 바다가 먼저 떠오르기도 하지만, 이 역시 사실 검고 푸른 제주의 대지를 바탕으로 하기에 더욱 화려한 것이죠.
제주의 땅을 존중하고 자세를 낮춘, 배경이 되는 건축의 과정을 주목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