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별자의 삶의 플래폼인 건축 그리고 그 물리적 집합체이자 공동체의 플래폼인 도시에 대한 포괄적 관심을 바탕으로, 그 실무적 이행으로 규모, 용도, 지역, 조건에 구애받지 않는 다양한 건축/도시디자인 프로젝트, 연구개발계획, 전문교육 등의 활동을 폭넓게 수용한다.
경계를 한정하지 않는 H2L의 작업과 그 방식은 공간space이 한 사회의 발전을 이끄는 중요한 매체임을 이해하는 다양한 클라이언트, 관계전문가, 협업건축가, 건축학 수련자들과 공유될 것이며, 이는 개별 프로젝트의 주제 아래 함의된 보편의 사고를 건축적, 도시적 주제로 해석해 사회공간에 환원함이 건축가의 직능을 다하는 길이라는 믿음에 기반한다.
- 전문분야
- 설계
- 대표자
- 황정현
- 설립
- 2015년
- 주소
- 서울 중구 다산로10길 10-5 (신당동, 자강헌) 202호
- 연락처
- 02-464-1019
- 이메일
- h2l.hwangjh@gmail.com
#03. 기초공사
제주 풀빌라 독채펜션
오늘은 시공의 첫 단계인 터파기와 기초시공 현장의 스케치를 해 볼 예정입니다.
물론 준공 후 용도는 농어촌 민박으로서 사용될 것이지만, 건축물의 모든 공간구성과 프로그램들은 한 가구가 거주하는데 무리 없는 단독주택으로 설계된 것이기에, 단독주택의 착공후 초기 공사의 현장을 살펴보실 수 있을 듯 합니다.
이미 소개해 드린 바 있는, 제주 단독주택의 부지 풍경입니다. 방문했을 당시 덩그러니 놓여있는 돌창고와 돌담, 그리고 제멋대로 자라 있는 들풀들이 눈에 들어왔죠. 알고 보니 저 풀들은 모두 브로콜리였었던.. 재미있는 기억도 남아 있습니다. 나대지, 즉 비어있는 대지라면 설계안을 대지에 앉히기 위해 측량결과를 바탕으로 대지에 기준점을 마킹합니다. 이를 '규준틀' 이라고 하죠.
그러나 제주 단독주택 프로젝트의 경우, 돌창고라는 신축건축물에 이어붙여야 하는 존치시설이 있기 때문에 기준이 조금은 달라졌습니다. 돌창고의 실측 결과를 바탕으로, 신축건축물과 이어지는 부분이 전체 공사의 기준점이 되는 것입니다.
▲ 터파기 현장
돌창고를 기준으로, 대지에 건축물이 앉을 터를 잡아 터파기를 시작합니다.
푸르던 브로콜리들.. 모두 정리된 모습입니다.
대지가 평지이고, 수영장을 제외한 건축물은 지하가 없기 때문에 대지 전체의 레벨을 낮춥니다. 도심지의 경우 장비 활용이 쉽지 않고, 각종 지하 매설물들이 있기에 건축물 부분만 정확히 파내는 경우가 많은데 비해, 제주는 비교적 대지 활용이 자유롭습니다.
H2L의 계획안 상, 건축물 부분을 포함해 조경, 데크, 수영장 등 옥외공간을 새로이 조성해 내야 하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대지 전체를 기초 깊이 정도로 낮추기로 결정합니다. 물론.. 대지를 온통 뒤덮고 있던 브로콜리들의 뿌리가 깊기도 했고요. 대지의 상토는 거의 전부 걷어내다시피 대지를 정리했습니다.
▲ 수영장 터파기
▲ 암석제거 현장
가장 깊이 굴착했던 부분은 수영장입니다.
제주 단독주택의 수영장은 완공 후 깊이 1m로 설계되었는데, 구조체의 깊이와 설비를 감안하면 1.5m 정도의 굴착이 필요했습니다. 굴착 과정에서 암반이 나와 파쇄 작업도 진행됐습니다.
터파기가 완료되면 대지의 안정성을 높여 줄 잡석을 도포하고, 버림콘크리트를 타설합니다. 이전 성동구 마장동의 협소주택에 대한 포스팅에서도 언급한 바 있듯이, 설계안을 대지에 실제로 그려내는 도화지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 버림콘크리트인데요. 평활하고 단단한 바탕을 구성해야 하기에 정말 중요한 공정 중 하나입니다.
▲ 잡석 도포
▲ 버림콘크리트 타설
건축물이 앉을 자리보다 조금 더 넓은 범위에 잡석을 도포하고, 그 위에 두께 5~10cm 내외의 콘크리트를 타설해 면을 잡습니다. 수영장 바닥도 마찬가지 공정이 진행됩니다. 대지 전체에, 건축물이 서게 될 영역이 비교적 뚜렷이 관찰되는 순간이기도 하죠.
▲ 버림콘크리트 타설 장면
돌창고 한쪽 코너와 신축 건축물이 이어지고, 안마당을 형성하며 마당에 마주한 수영장까지. 제주 풀빌라 렌털하우스의 공간 구성이 눈에 들어옵니다. 수영장 우측은, 신축 건축물의 상하수도 설비와 연결될 설비가 들어올 자리로, 배수와 정수, 급수를 위한 기계실이 설치되어야 하기에 수영장 바닥보다 50cm 내외 더 깊은 터파기가 필요했죠.
▲ 버림콘크리트 양생 후 기초 거푸집 설치
버림콘크리트가 단단하게 양생되면, 기초의 철근배근과 거푸집 작업이 시작됩니다.
거푸집을 평활하고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바탕으로서의 버림콘크리트의 중요성이 이해되는 장면이기도 한데요, 건축물의 구조체 외곽선이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내는 장면이기도 합니다. 사진에서 가까이 보이는 부분에 침실을 비롯한 사적인 공간이 마련되고, 멀리 보이는 부분에는 공용부인 주방과 거실 등이 설치되어 BBQ 하우스로 사용될 돌창고 공간과 실내에서 연결될 것입니다.
▲ 버림콘크리트 양생 후, 수영장 및 앞마당
▲ 앞마당, BBQ하우스의 투시도
투시도에서 느껴지는 공간감이 조금은 대지에 그려지시나요?
미장과 섀시로 마감돼 있는 돌창고 측부는 오픈해 폴딩도어를 설치하고, 마당측 돌벽엔 이끼와 담쟁이를 식재해 벽면 녹화를 해 볼 예정입니다.
앞마당을 바라보는 거실, 앞마당과 수영장을 이어주는 데크는 BBQ하우스 전면공간까지 확장되고, 옥외공간 활용의 프라이버시 확보를 위해 디자인 담장이 설치될 것입니다. 거푸집이 서고, 배근이 시작되면 오랜 시간 가상공간과 도면에서 그려오던 디자인이 구현되는 순간에 느낄 수 있는 설레임이 있는데요. 정말 현장에 대한 애착이 깊어지는 시간들이기도 합니다.
▲ 프로젝트의 성공을 기원하는 계란..!
다음 포스팅에서는 본격적인 기초와 벽체 구조를 만들어가는 과정을 정리해 볼 생각입니다.
사람들도 갖춰입은 옷 속에 살갖과 근육, 그 안에 신경과 혈관, 뼈대가 있듯 완성된 건축물 내부에도 많은 계통들이 복합적으로 설치돼 있는데요. 제주 단독주택 처럼 철근콘크리트 구조인 경우는, 한번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순간 다시는 살펴볼 수 없는 것이 이러한 계통들입니다. 소규모 단독주택인 경우 기초 구조체 내부에 모든 관로가 매설되게 되는데요. 해당 공정에서 놓쳐서는 안되는 요소들을 살펴볼 수 있는 포스팅이 될 것 같습니다.
마지막 장면은.. 다음 포스팅의 예고편으로, 말씀드린 기초철근배근과 설비배관이 설치되는 과정 중 하나인데요. 배근 사이에 귀엽게 매달려 있는 것은 '삶은 계란'입니다. 제주의 풍습인것 같기도 한데, 프로젝트의 성공을 빌고 나쁜 기운을 물리치는 의미로 기초철근 구석구석, 계란들을 매달아 두셨더군요. 지역마다의 재미있는 삶의 풍경들을 마주하는것, 건축가의 또 다른 즐거움이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