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새로운 댓글알림이 없습니다.
닫기

알림

닫기
로그인

로그인 상태 유지

건축가 로그인

회원가입 ID/PW찾기

* 시스템 리뉴얼로 인해 일반회원 가입 및 로그인은 및 한동안 불가합니다. 이에 양해의말씀드립니다.

아이디 / 비밀번호찾기

  • 가입 시 등록한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시면 임시 비밀번호가 전송됩니다.
  • 이메일 주소가 생각나지 않을 경우 1:1문의하기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아이디 찾기 비밀번호 찾기

회원가입

건축가 회원가입


일반회원 (리뉴얼 중)


회원가입을 하면 에이플래폼의 서비스 약관개인정보보호방침에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일반회원가입

중복확인

중복확인

회원가입을 하면 에이플래폼의 서비스 약관개인정보보호방침에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일반회원가입 (선택사항)

성별
남자 여자
생년월일
주소
직업

건너뛰기 >

축하합니다!
에이플래폼 가입이 완료되었습니다.

사용하실 닉네임을 입력하고
플래폼을 시작해 보세요~
닉네임을 입력해야지 최종가입됩니다.

환영합니다!

기업회원가입 (회사유형선택)

건축회사

자재회사

건축회사가입 (1/3)

증복확인

증복확인

회사명
주소
사업자구분
사업자번호

회원가입을 하면 에이플래폼의 서비스 약관개인정보보호방침에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건축회사가입 (2/3)

대표자명
대표전화
서비스분야

건축분야선택

주거
상업
문교사회
공업

최대 10개까지만 등록가능합니다.

미니카드생성 (3/3)

미니카드에 적용할 이미지를
선택하세요.

로고이미지
(168 x 168px 이상의 jpg, gif, png로 등록해 주세요.)
미니카드이미지
(291 x 164px 이상의 jpg, gif, png로 등록해 주세요.)

홈페이지 유형선택

건축가의 경쟁력 강화와 원활한 경영활동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3개월 단위 계약

  • Premium

    건축 홈페이지부터 홍보, 브랜딩 데이터분석, 콘텐츠 관리, 기사발행 등
    맞춤 경영지원을 제공하는 플랜

    299,000
    / 월

    신청하기
  • Business

    건축 홈페이지가 필요한
    건축가를 위해 준비한 플랜

    59,000

    19,900 * 이벤트 할인
    / 월

    신청하기
  • Basic

    건축플랫폼에 등록되는 기본 형태

    무료

    신청하기
개인계정 생성
반응형 홈페이지
플랫폼 메인노출
개인 도메인 연결 ×
방문자 통계
홈페이지 디자인 ×
소셜링크 ×
에이플래폼 로고/배너 삭제 ×
이메일 문의기능 ×
전담 콘텐츠매니저 부여 × ×
기사발행 (Kakao, Naver)
사무소 데이터 분석 리포트 분기 발행 × ×
인턴십 매칭 (학교지원금無)
인턴십 매칭 (학교지원금有) ×
에이라운지 입주할인 20% 할인 10% 할인 ×
건축사진작가 할인연결
세무기장 무료/할인
실시간 건축문의 참여 무제한 선착순 선착순
건축중개 × ×

축하합니다!
관리자 승인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홈으로 이동

자재회사가입 (1/2)

증복확인

증복확인

회사명
주소
사업자구분
사업자번호

회원가입을 하면 에이플래폼의 서비스 약관개인정보보호방침에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미니카드생성 (2/2)

자재 검색페이지에 노출이
되기위해 미니카드를
생성해야 합니다.

카드생성을 완료하세요.

대표이미지
(216 x 162px 이상의 jpg, gif, png로 등록해 주세요.)

취급자재선택

내장재
외장재
단열재
목재
석재
벽돌
창호
냉난방/환기설비
설비
도장/방수
홈네트워크
기타

최대 10개까지만 등록가능합니다.

축하합니다!
자재회사 페이지가 생성되었습니다.

사용하실 닉네임을 입력하고
플래폼을 시작해 보세요~

카탈로그제품사진을 등록하고
회사소개서를 작성하여
회사를 널리 알려보세요.

지금하러가기

나중에 하기

벽돌예찬
현창용의 공간·공감
공주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건축가 현창용
2019.11.01

※ 이 글은 이데일리에 기재된 글입니다. 



필자는 벽돌로 설계하길 즐긴다. 여러 가지 상황들이 허락한다면 디자인 과정에 있는 건축물에 벽돌을 입혔을 때의 모습을 가장 먼저 상상하곤 한다. 석재, 금속재, 페인트 등 수많은 외장재가 있지만 고민 끝에 고르게 되는 재료가 그 흔한 벽돌이라니, 이런 건축가의 선택에는 분명 벽돌이라는 재료가 가지는 여러 가지 이유들이 있을 터다.


근대건축의 거장 루이스 칸(Louis Kahn)은 강연 중 이런 말을 남긴다.


“벽돌아, 넌 뭐가 되고 싶니?”

“저는 아치(arch)가 되고 싶어요.”

“음, 아치도 좋지만 아치는 비싸단다. 내가 보를 만들어 그 위에 널 얹어줄게.”

“하지만 저는 아치가 되고 싶어요.”

“그래 그럼 아치를 만들어 보자꾸나.”


이 이야기는 루이스 칸이 ‘모든 재료는 되고 싶은 무언가가 있다’라는 의미를 전달하고자 소개한 일화다. 벽돌이 아치 형태를 구축하며 아름다움이 배가되듯, 재료마다 그 본질을 표현하기에 가장 아름다울 수 있는 구조나 형태가 있다는 뜻이다. 그가 수많은 재료 중 ‘벽돌’을 예로 들며 재료의 본질을 가르쳤다는 것은 벽돌이란 재료가 가지는 특성이 매우 단순 명쾌하기 때문일 것이다.



벽돌의 본질은 ‘쌓음’에 있다. 우리 주변에서 발견할 수 있는 많은 건축물의 재료들을 살펴보자. 벽돌만큼 흔히 볼 수 있는 석재와 금속재 판넬의 경우 표면은 평활한 면을 형성하지만 그 내부에서는 여러 가지 종류의 철물로 붙들어 매어 콘크리트 벽 위에 고정돼 있다. 끊임없이 문제가 되고 있는 ‘드라이비트’ 역시 건물 콘크리트 표면에 접착제로 붙인 재료다. 즉 이런 면(面) 재료들은 한 번에 넓은 표면을 형성해 주는 대신 중력을 이겨내기 위한 별도의 장치들이 필요한 셈이다. 인간의 기술이 자연의 섭리를 이겨 내는 현장이지만, 그 과정에서 인간이 범하는 작은 실수들이 사고로 되돌아오기도 한다.


하지만 벽돌은 ‘붙이는’ 재료가 아닌 ‘쌓는’ 재료다. 벽돌 한 장 한 장이 중력에 서로를 의지하며 놓이고 또 놓인다. 게다가 널찍한 석재나 금속재처럼 한 번의 시공으로 넓은 면을 형성할 수 없어 한 장, 한 장을 제대로 쌓지 않으면 선이 비틀어지는 것은 물론 안정성까지 상실하고 만다. 또 한 번에 1m 높이 이상을 쌓을 수 없고 쌓아 놓은 벽돌들이 서로 단단히 붙잡고 설 때까지 기다려 준 후 다시 쌓아나갈 수 있는 예민한 재료기도 하다. 벽돌은 이처럼 자연스러운 재료이자 정성이 필요한 재료다.


이런 벽돌의 성질은 인류의 역사와 함께하며 많은 건축가들의 사랑을 받게 된다. 한국의 현대건축을 대표하는 김수근 건축가는 ‘건축은 빛과 벽돌이 짓는 시’라고 정의하며 벽돌을 실용과 예술이라는 건축의 본질을 살리는 재료로 추켜세우기도 했다. 비단 거장들이 아니더라도 우리 주변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건물이 벽돌 건물이라는 점은 벽돌이 건축가들에게 친숙하면서도 믿음직스러운 재료로 각인돼 있다는 증거다. 특히 황토가 많이 나는 우리 땅의 특성상 가장 저렴하고 빠르게 생산할 수 있는 재료이기도 했기에 우리는 잠깐의 도시 산책으로도 저마다 멋을 낸 다양한 벽돌 건축을 접할 수 있다. 세워서 쌓거나 비워내며 쌓기도 하고, 반 토막 내 깨진 면을 드러내 쌓거나 아치를 만들어 놓기도 했다. 같은 듯 다른 개성 있는 벽돌 건물의 표피는 우리 도시 풍경을 풍성하게 만드는 중요한 언어인 것이다.



하지만 이런 아기자기한 벽돌의 미학을 즐길 기회는 점차 줄어들지도 모른다. 숙련된 벽돌 장인들을 섭외하기가 녹록지 않다는 현장의 목소리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조적(벽돌쌓기) 기술을 가진 국내 인력들이 점점 줄어들고 해외 기술자들로 대체되며 소통이 어려워진 점이 가장 큰 고충이라고들 한다. 건축가가 개성 있는 벽돌 디자인을 제안해도 기술자와 감독자의 원활한 소통 없이는 구현이 쉽지 않다. 게다가 남아 있는 벽돌 건물들 마저 ‘오래된 것’ 이기에 ‘버려야 할 것’으로 치부되는 우리 부동산 정서상 옛 장인들이 멋스레 쌓은 벽돌 면들이 언제까지 존재할 수 있을지 알 수 없다. 흔한 풍경이지만 한걸음 다가가 들여다보면 고유한 패턴과 형태를 가진 주변의 벽돌 건물들, 일상의 길 위에 벽돌 건물들이 발견된다면 한 번쯤 시선을 던져 보는 것은 어떨까. 

공주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건축가 현창용

공주대학교(조교수), 서울특별시(공공건축가)

건축이야기꾼의 다른 글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