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새로운 댓글알림이 없습니다.
닫기

알림

닫기
로그인

로그인 상태 유지

건축가 로그인

회원가입 ID/PW찾기

* 시스템 리뉴얼로 인해 일반회원 가입 및 로그인은 및 한동안 불가합니다. 이에 양해의말씀드립니다.

아이디 / 비밀번호찾기

  • 가입 시 등록한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시면 임시 비밀번호가 전송됩니다.
  • 이메일 주소가 생각나지 않을 경우 1:1문의하기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아이디 찾기 비밀번호 찾기

회원가입

건축가 회원가입


일반회원 (리뉴얼 중)


회원가입을 하면 에이플래폼의 서비스 약관개인정보보호방침에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일반회원가입

중복확인

중복확인

회원가입을 하면 에이플래폼의 서비스 약관개인정보보호방침에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일반회원가입 (선택사항)

성별
남자 여자
생년월일
주소
직업

건너뛰기 >

축하합니다!
에이플래폼 가입이 완료되었습니다.

사용하실 닉네임을 입력하고
플래폼을 시작해 보세요~
닉네임을 입력해야지 최종가입됩니다.

환영합니다!

기업회원가입 (회사유형선택)

건축회사

자재회사

건축회사가입 (1/3)

증복확인

증복확인

회사명
주소
사업자구분
사업자번호

회원가입을 하면 에이플래폼의 서비스 약관개인정보보호방침에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건축회사가입 (2/3)

대표자명
대표전화
서비스분야

건축분야선택

주거
상업
문교사회
공업

최대 10개까지만 등록가능합니다.

미니카드생성 (3/3)

미니카드에 적용할 이미지를
선택하세요.

로고이미지
(168 x 168px 이상의 jpg, gif, png로 등록해 주세요.)
미니카드이미지
(291 x 164px 이상의 jpg, gif, png로 등록해 주세요.)

홈페이지 유형선택

건축가의 경쟁력 강화와 원활한 경영활동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3개월 단위 계약

  • Premium

    건축 홈페이지부터 홍보, 브랜딩 데이터분석, 콘텐츠 관리, 기사발행 등
    맞춤 경영지원을 제공하는 플랜

    299,000
    / 월

    신청하기
  • Business

    건축 홈페이지가 필요한
    건축가를 위해 준비한 플랜

    59,000

    19,900 * 이벤트 할인
    / 월

    신청하기
  • Basic

    건축플랫폼에 등록되는 기본 형태

    무료

    신청하기
개인계정 생성
반응형 홈페이지
플랫폼 메인노출
개인 도메인 연결 ×
방문자 통계
홈페이지 디자인 ×
소셜링크 ×
에이플래폼 로고/배너 삭제 ×
이메일 문의기능 ×
전담 콘텐츠매니저 부여 × ×
기사발행 (Kakao, Naver)
사무소 데이터 분석 리포트 분기 발행 × ×
인턴십 매칭 (학교지원금無)
인턴십 매칭 (학교지원금有) ×
에이라운지 입주할인 20% 할인 10% 할인 ×
건축사진작가 할인연결
세무기장 무료/할인
실시간 건축문의 참여 무제한 선착순 선착순
건축중개 × ×

축하합니다!
관리자 승인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홈으로 이동

자재회사가입 (1/2)

증복확인

증복확인

회사명
주소
사업자구분
사업자번호

회원가입을 하면 에이플래폼의 서비스 약관개인정보보호방침에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미니카드생성 (2/2)

자재 검색페이지에 노출이
되기위해 미니카드를
생성해야 합니다.

카드생성을 완료하세요.

대표이미지
(216 x 162px 이상의 jpg, gif, png로 등록해 주세요.)

취급자재선택

내장재
외장재
단열재
목재
석재
벽돌
창호
냉난방/환기설비
설비
도장/방수
홈네트워크
기타

최대 10개까지만 등록가능합니다.

축하합니다!
자재회사 페이지가 생성되었습니다.

사용하실 닉네임을 입력하고
플래폼을 시작해 보세요~

카탈로그제품사진을 등록하고
회사소개서를 작성하여
회사를 널리 알려보세요.

지금하러가기

나중에 하기

배재학당 설립 131주년(1885.8.3)
배재학당 동관(1916)과 정동배재빌딩 / 진아건축(2004)
도시설계가 Archur
2016.08.01

 

2003년 대학 졸업작품과 2005년 석사 논문 모두 정동과 관련이 있었다. 그렇게 장소와 사람 간의 인연도 있는 것 같다. 2003년 졸업작품 준비를 위해 정동을 답사할때 철재 펜스 안쪽에 있던 한 적벽돌 건물이 위태로워 보였다. 펜스가 설치된 이유를 정확히 알지 못했던 당시 나에게 그 적벽돌 건물은 곧 헐릴 것 처럼 보였다. 적벽돌 건물이 배재학당 동관이고 이 일대가 '배재학당'과 관련있다는 사실은 펜스 바깥에, 한국J.P. Morgan Chase&Company건물 남쪽에 조성돼 있는 '배재공원'에서 알게 됐다. 이 공원 안에는 '배재학당터, 남궁억집터'를 알리는 표석(아래사진)과 배재공원 조성의의가 새겨진 조형물이 설치돼 있다.

배재학당의 기원은 아펜젤러(Henry G.Appenzeller, 위 사진)라는 선교사부터 시작된다. 1858년 미국 펜실베니아州에서 태어난 그는 어려서부터 철저한 성서교육을 받으며 성장했다고 한다. 27세가 된 1885년 2월 1일, 아펜젤러는 태평양 우편선인 아라빅호에 승선해 2월 27일 일본에 도착했다. 그리고 같은 해 4월 5일 제물포항에 도착하지만 어수선한 국내정세와 무엇보다 부인 엘라 도지(Ella Dodge)가 임신한 상태여서 일본으로 다시 돌아갔다. 당시 아펜젤러가 서울로 입성하기 전에 머물렀던 곳은 인천 동구에 있는 인천기독교사회복지관(1894) 인근이었다. 그때 국내 상황을 대충설명해 보면, 1884년 12월 4일에 있었던 갑신정변의 후유증이 1885년초에 있었고 아펜젤러가 제물포항에 도착한 뒤 10일이 지난 4월 15일에 러시아의 남하를 견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영국이 거문도를 불법 점령하기도 했다.

다시 조선에 들어온 아펜젤러가 안착할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는 미국에서부터 동행했던 윌리엄 스크랜턴(William B.Scranton)이었다. 그가 서울 정동에 마련한 집에 아펜젤러 부부는 7월 19일 도착했다. 아펜젤러가 가장 먼저 추진한 사업이 학교 설립이었다. 당시 미국 대리공사였던 풀크(George Clayton Foulk)를 통해 학교 설립 가능성을 타진했는데 고종 황제는 이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였다고 한다. 결국 그해 8월 3일, 이겸라, 고영필 두 학생을 받아들여 영어를 가르치면서 교육사업을 시작했다.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식 근대 교육기관인 배재학당의 시작인 셈이다. 올해(2016년)는 배재학당 설립 131주년이 된다. 9월에는 이종운, 오인학을 비롯해 지방에서 상경한 학생 두 명도 합류하게 됐다.

이듬해인 1886년 6월 8일에는 고종 황제로부터 '배재학당'이라는 현판을 하사받게 된다(위 사진에서 왼쪽 상단). '배재(培才)''배양영재(培養英才)'의 줄임말로 '영재를 길러내는 학당'이라는 뜻이다. 학생이 많아지면 당연히 시설을 확보해야 하는 법. 아펜젤러는 기존 한옥을 개조한 건물로는 협소하여 한때 어학교사로도 있었던 송헌성에게 새로운 건물의 감독을 맡겼다. 건물의 설계는 일본인 건축가 요시자와 토모타로(吉澤友太郞)가 했고 도편수는 심의석이었다고 한다. 1886년 8월에 공사를 시작해 11월에 낙성한 이 건물은 심의석이 참여한 첫 번째 서양식 건축물로 단층 벽돌조였다(아래사진). 이후 요시자와 토모타로(吉澤友太郞)와 심의석은 정동제일교회(1898) 건축에서도 함께 한다.

 

당시 준공한 건물은 현재 우리가 볼 수 있는 배재학당 동관은 아니다. 배재학당 동관은 1916년 증축개념으로 지어진 건물이다. 1933년 배재학당은 학교 설립 5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1886년에 완공된 건물을 허물고 새로운 강당을 지었다. 당시 동아일보 기사에 따르면 1,900명을 수용하는 규모였다. 배재학당 동관은 현재 배재 정동 빌딩이 있는 영역을 기준으로는 동쪽에, 서소문로11길을 등지고 배치돼 있다. 반지하층 1개에 지상 2개층 그리고 지붕아래 다락층이 있다. 입면은 반층 올려진 가운데 포치(Porch)를 기준으로 5베이(Bay)로 베이를 나누는 입면 요소는 없다(위 사진). 외관에서 가장 특징적인 부분은 포치를 지지하는 도릭양식의 기둥 8개와 건물의 규모에 비해 큰 세 개의 지붕창이다. 가운데 지붕창에는 4개의 창이, 양쪽에는 3개의 창이 설치돼 있다. 지붕창의 이러한 구성은 지붕 후면도 같다. 그래서 다락층(현재 세미나실과 회의실)은 다른 층보다 더 밝다(아래사진). 가운데 지붕창 뒤로 굴뚝이 각각 두개씩 총 4개가 만들어져 있는데 그 간격이 동쪽과 서쪽이 다르다.


이면(Rear Side)에서는 가운데 베이 1층에 페이먼트(Pediment)가 한 쌍의 창 상부에 설치돼 있다. 페디먼트 가운데 꼭지점이 1층과 2층을 나누는 수평띠에 물려있다(위 사진). 건물의 입구는 정면 외 양쪽 측면에도 있다. 지금은 역사박물관으로 용도가 바뀌어 내부평면이 달라졌지만 아마도 건물은 가운데 복도를 두고 동서로 교실이 배치돼 있었던 것 같다. 그리고 복도에서 건물 양쪽 측면으로 바로 나올 수 있었던 것 같다(아래사진). 양쪽 측면에 나 있는 입구에도 페디먼트가 문 위에 올려져 있고 양쪽에 엔타시스(Entasis)형태의 도릭양식 기둥이 받치고 있다. 입구라는 건물의 한 요소로서 동쪽에 난 정문과 동일한 디자인 언어를 공유하고 있다.

아펜젤러가 교육사업을 시작한지 10년이 지난 1895년에는 배재학당에서 꽤 의미있는 일이 있었다. 우선 200명을 선발해 국비로 위탁 교육을 시켰다. 그리고 공식적으로는 1896년 7월 설립된 독립협회의 태동도 있었다. 독립협회는 한국 최초의 근대적인 사회정치단체로 '독립신문'을 발간하였다. 물론 한계도 많은 단체였다. 독립신문을 인쇄한 곳이 배재학당 인쇄소였는데 이 인쇄소는 1890년 올링거(Franklin Ohlinger)목사가 설립하였다. 1893년부터는 헐버트(Homer Bezaleel Hulbert)가 실무책임을 맡았는데 협성회보나 매일신문을 이곳에서 인쇄하였다. 후에는 '삼문(三文)출판사'로 이름을 바꿨는데 삼문은 주로 인쇄한 한글, 중국어, 영어를 의미한다.

위 내용을 개략적으로 적은 현판이 붙은 기념비가 배재공원내 설치돼 있다. 더불어 배재공원이 '1897년 맨손체조를 비롯하여 각종 구기운동이 처음 시작된 우리나라 체육의 산실'이라는 내용도 적혀 있다. 배재공원은 이런 '역사적 현장을 길이 보존'하고자 1989년 7월 6일 조성됐다. 조성의 주체는 코오롱건설주식회사, Chase Manhattan Bank 그리고 학교법인 배재학당이다. 공원 조성의 자세한 경과는 알 수 없으나 공원 북쪽(중구 정동 34-35)에 J.P.Morgan Plaza가 1988년에 준공된 것으로 볼 때 기부채납 형태로 조성된 공원인 듯 하다. 그렇다면 前 토지주는 학교법인 배재학당일테고 시공사는 코오롱건설일 듯 하다.

사실 배재공원에서 이 땅에 대한 역사를 기념비와 현판 외 다른 부분에서 읽어내기란 어렵다. 공원 자체도 1980년대 조성된, 특히 기부채납 형태로 조성된 공개공지들이 가지고 있는 전형적인 모습을 취하고 있다. 배재공원은 일단 공개공지이지만 공개되어 있지 않다. 이렇게 느끼는 가장 큰 이유는 공원과 전면도로인 서소문로11길과 연결된 부분이 폐쇄적으로 처리돼 있기 때문이다. 또한 공원의 남쪽(위 사진에서 왼쪽)은 배재 정동 빌딩과 단차를 이루고 있고 북쪽(위 사진에서 오른쪽)은 J.P.Morgan Plaza의 뒷면이 벽을 이루고 있다. 건물의 전면이었다면 그나마 덜할텐데... 서쪽으로 연결되는 길은 주한러시아 대사관의 부출입구로 이어지는 막다른 길이다. 공원의 형태도 동서로 길어서 서소문로11길을 기준으로 공원 안쪽에 대한 인지성이 떨어진다. 좋게 얘기하면 도심 속에서 한적함을 느낀다고 볼 수 있지만 다르게 얘기하면 너무 후미져 있다.

1989년에 조성된 배재공원이 조금더 괜찮은 도시내 오픈스페이스가 될 수 있었던 기회가 있었다. 바로 배재학당 동관 서쪽 부지 개발이었다. 1994년 배재중고등학교가 강동구 고덕동으로 이전하면서 이 땅(대지면적 10,169㎡)이 비게  됐다. 이전 적지가 생긴 것이다. '배재 정동 빌딩'이라는 이름으로 지어진 이 건축물의 설계는 진아건축이 맡았다. 설계기간은 2000년 2월부터 2001년 8월이었고 공사기간은 2001년 9월부터 2004년 1월이었다. 2003년 내가 봤던 공사 철재 펜스 속 배재학당 동관은 이 건물이 한창 지어지던 때였다. 물론 당시 현장에서도 '정동배재 주상복합건물 신축공사'라는 현판을 봤었다(아래사진). 그런데 당시 현판에 걸려 있던 조감도와 지금 지어진 모습을 비교해보면 북쪽(조감도에서 오른쪽)에 지어진 건물의 모습이 다르다. 당시에는 북쪽에 지어질 건물을 공동주택으로 설계했는데 추후에 업무시설로 바뀌어 지금과 같이 매끈한 유리 패널로 입면이 바뀌었다. 설계자의 설명에 의하면 당시 공동주택은 외국인 전용주거였다고 한다. 참고로 설계진행 중간에 한개 동으로 계획된 적도 있었다고 한다(-이상건축 200402(138)-).

그런데 당시에도 공사개요에 나온 조감도에서 내가 주목했던 건 건물의 입면보다는 배재학당 동관(위 사진에서 가운데)과 배재공원과 면한 부분(위 사진에서 오른쪽 아래)이었다. 조감도에서 배재학당 동관은 '꾸어다 놓은 보릿자루' 같았고 배재공원과 면한 부분은 아예 화단 벽으로 처리돼 있었다. 배재학당 동관에 대한 얘기는 조금 후에 하고 배재공원과의 접점 부분 부터 얘기해보면, 조감도에 나온대로 지금도 배재공원 남쪽, 정동 배재 빌딩과 면한 부분은 법면과 화단으로 처리돼 있다(아래사진). 두 공간 모두 배재학당이라는 땅의 역사를 공유하고 있지만 두 공간은 고작 몇 미터의 단차를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 대지경계선은 물론 법적인 소유자가 다르기 때문에 분명히 구분되어야 하는 선이지만 굳이 그 보이지 않는 선을 도시공간에 그대로 드러낼 필요가 있을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어차피 배재 정동 빌딩도 기부채납을 위한 공개공지를 배재학당 동관 주변(아래x2 사진)에 조성할 계획이었다면 이 공간과 배재공원을 연결할 수 있었을 텐데 이 부분이 아쉬웠다.


배재 정동 빌딩은 서소문로11길에 면한 배재학당 동관 서쪽과 남쪽에 오픈스페이스를 두고 대지경계선 서쪽에 붙여서 남북 두개 동으로 설계됐다(연면적 37,224㎡, B4~12F). 두 동 모두 상층부는 매끈한 유리패널로 마감했고 저층부는 AL골 패널, AL 시트(Sheet) 거멀접기, 스페인産 화강석 등을 섞어 디테일을 더했다(위 사진). 아마도 원거리에서는 매끈한 유리패널로 인지성을 더하고 근거리에서 보행자 및 배재학당 동관 입면과의 어울림을 고려한 듯 하다. 아마도 설계자는 이 건물의 이름을 이루는 '배재'라는 땅의 역사성과 이미지, '정동'이라는 주변 컨텍스트 그리고 '빌딩'이라는 무미건조하지만 상업적인 수익창출 속에서의 해법을 고민했던 것 같다. 설계자가 프로젝트을 시작하면서 그 출발점으로 삼은 질문은 참 적절했다고 판단된다.

"처음 '배재 정동 빌딩'을 접했을 때 우선 명칭에서 느껴지는 이질감에 관심이 갔다. '배재'라는 단어가 가지고 있는 이미지가 확연하고, '정동'이라는 지역성에 대해서는 두말할 것 없으며 그에 붙어 있는 '빌딩'은 또 어떠한가? 그들은 어떻게 하나의 프로젝트 이름에서 만났으며, 서로 어떠한 상관 관계를 가지고 있나?" ...(중략)... "우선 타협점은 시공사와 건축주에게 최대한은 아니지만 적절한 만큼의 공간 확보를 약속하며 금전적인 이익이 아닌 다른 차원의 이익을 약속했다. 그들이 원하는 이익이라는 것이 금전적인 것 외에 무엇이 있겠냐만은 '배재'라는 이름과 정동이라는 위치로 설득했다. 두 개로 나뉜 건물 틈에 길을 만들고 그도 부족해 앞의 A동에 통과 도로를 뚫었다(위 사진). 정동을 거니는 사람들에게 시야의 차단은 어쩔 수 없겠지만 동선의 차단만큼은 막았다. 또한 100년이 넘은 보호수를 둘러 진입 데크로 활용하여 건물뿐 아니라 주변을 둘러 볼 수 있게 했다(아래사진). 이 빌딩이 정동 주변을 담는 도시의 배경으로 자리하길 바라는 마음으로 마감한 외관에는 보호수가 그대로 투영되어 지나가던 새들의 사인이 되기도 한다. 건축물을 덩어리로 인식하는 것이 아닌 주변 컨텍스트가 반영되어 이 건물을 통해 주변까지 볼 수 있기를 바란 것이다."

-이상건축 200402(138)-


정동 배재 빌딩이 완공됐지만 배재학당 동관은 특별한 기능 없이 그 자리에 그냥 앉아 있었다. 정동 배재 빌딩을 설계한 진아건축의 표현대로 '멀뚱하게 앉아 있는 모습이 처갓집 제사에 들른 처조카 사위' 같은 모습이었다. 2008년 7월 24일, 배재학당 동관은 얇은 먼지 입면을 벗기고 '배재학당 역사박물관'으로 개관했다. 건물의 기능이 바뀌면서 건물과 동쪽을 지나는 서소문로11길과의 관계 개선(?)에도 노력이 가해졌다. 박물관 이전에는 단차부분이 석축으로 처리(위 사진)돼 있었는데 개관과 동시에 조경공간으로 바뀌었다. 접근가능한 공간이라는 메세지를 더한 것이다. 하지만 배재공원과의 연결은 여전했다. 사실 배재학당 역사박물관과 전면도로와의 관계는 단차 뿐만 아니라 건물의 이면(Rear Side)이 가로에 면해 있다는 점 때문에 적극적이기 힘들다. 어쩌면 지금의 설계가 배재학당 역사박물관과 서소문로11길이 맺을 수 있는 관계의 최선인지도 모른다. 물론 정동 배재 빌딩 완공 이후 멀거니 서 있던 배재학당 동관을 보면서 '설마 저 건물도 박물관이나 역사관처럼 뻔한 용도로 사용되는건 아니겠지?'라는 생각을 한 적이 있었다. 역사적인 건물을 문화전시시설로 사용하는 방식이 너무 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재 배재학당 역사박물관은 활용 측면에서 내 생각이 오히려 뻔했음을 역으로 증명하고 있다. 건물이 담고 있는 역사박물관으로서의 역할과 전시에 대한 이야기는 아래 역사박물관장에 대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박물관 본래의 기능보다는 토론이나 담론을 위한 공간을 많이 가진 편이라 할 수 있습니다. 오늘날 '소통'이라는 주제가 정치적인 이슈로까지 제기되고 있는데 이 건물이 준공될 무렵의 국제 관계에서도 소통은 중요한 과제였습니다. 배재학당은 교육 기관일 뿐만 아니라 주변국들과 소통하여 한국의 위상을 어떻게 정립할 것인지의 문제를 비롯해 문화, 종교, 정치 등 당시 한국이 근대화하기 위한 여러 과제들을 두고 수많은 토론과 담론이 줄을 이었던 공간이었습니다. 그런 담론의 중심 공간이란 역사적 의의를 살리고 오늘날까지 연장한다는 의미에서 회의실이나 세미나실의 비중을 높였습니다. 아펜젤러가 단순히 통역관이나 학교의 인재를 기르기 위해 배재학당을 설립한 것은 아니라는 부분입니다. 그는 어디까지나 한국의 고유 문화와 정신 사상을 존중했습니다. 그런 바탕 위에 근대 문명의 지식을 쌓고 기독교적 진리를 실천하며 교회와 학교, 국가에 이바지할 수 있는 문화인을 양성하려고 했던 것입니다. 그런 목적으로 그는 지식 계층에서 한글을 적극 사용하며 개발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이에 따라 주시경 등의 한글 학자를 비롯해 김소월, 나도향 등의 훌륭한 문인도 배출된 것입니다.

-김종헌 曰, 이정범의 <와이드 아이01>: 배재학당 역사박물관장 김종헌, 와이드 2009 1~2 통권 7호-

 

도시설계가 Archur

Archur가 해석하는 도시, 건축.
저서. <닮은 도시 다른 공간>

건축이야기꾼의 다른 글

+ 더보기